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중증 궤양성 대장염 입원환자의 스테로이드 치료실패에 대한 예측 인자 및 모델 검증
Predictors of Steroid Treatment Failure and Validation of Previous Models for Severe Attacks of Ulcerative Colitis
김정욱 ( Jung Wook Kim ) , 김효종 ( Hyo Jong Kim ) , 이창균 ( Chang Kyun Lee ) , 김혁 ( Hyuck Kim ) , 신아리 ( A Ri Shin ) , 강경환 ( Kyung Hwan Kang ) , 김민경 ( Min Kyoung Kim ) , 박현진 ( Hyun Jin Park ) , 정회훈 ( Hoe Hoon Chung ) , 황은정 ( Eun Jung Hwang )
UCI I410-ECN-0102-2016-510-000200800

목적: 여러 임상증상들과 검사실 소견들이 중증 급성악화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치료 실패를 조기에 판단하는 예측인자로 알려져 왔으나, 연구마다 의미있는 인자에 차이가 있으며 대부분 서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전에 제시된 모델들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여 검증하고 국내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경희의료원에 입원하여 중증 궤양성 대장염의 급성악화로 진단받고 정맥 내 스테로이드 투여를 받은 환자 7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 조사하였다. 스테로이드 반응 여부에 따라 반응군/비 반응군으로 구분하였는데, 비 반응군은 수술이나 2차 약물치료를 시행한 군으로 이를 치료 실패로 정의하였고 배변빈도 등을 이용한 치료 예측 모델에 적용하여 치료 실패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12명(17.2%)의 환자가 스테로이드 치료 실패를 경험하였다. 회귀 분석을 통하여 5일째 배변횟수와 장관 확장 여부만이 치료 실패와 관련된 독립적인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3일간의 평균 배변횟수, 장관 확장 여부 및 저알부민혈증을 변수로 합산한 점수는 비 반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고 이 점수를 기준으로 세 군으로 증등도 분류를 하여 스테로이드 치료 실패 비율을 조사하였을 때 각각 5.9%, 11.1%, 50%로 고 위험군에서 치료 실패 비율이 높았다. 또 다른 점수화 모델에서 제안한 3일째 배변횟수+1.4×CRP 점수가 8점을 넘은 군에서는 30.8%로, 8점 이하의 군 8.6%보다 치료 실패 빈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치료 3일째 배변빈도가 8회를 넘고 CRP 수치가 4.5 mg/dL 이상이 되는 환자군에서 치료 실패 빈도가 40%로, 그렇지 않은 군 7.3%보다 높았다(P=0.004). 마지막으로 3일째 혈변이 지속되고 4.3 mg/dL 이상의 CRP를 보이는 환자들에서 치료 실패율은 33.3%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4). 결론: 현재까지 제안된 스테로이드 치료 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들 중 실제 임상에 가장 의미있는 인자는 배변횟수와 CRP 수치이며 이 중 배변횟수가 치료 실패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이다. 현재까지 서양에서 제안된 여러 가지 스테로이드 치료 실패에 대한 예측 모델은 우리나라 임상에서도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Some clinical and laboratory parameter are predictors to determine steroid treatment failure in patients acute severe ulcerative colitis. We aimed to validate previous models in the Korean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retrospectively with 7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evere ulcerative colitis (UC)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11. The rate of treatment failure was investigated using predictors or numerical scoring systems from prior studies. Results: Twelve (17.2%) patients failed to respond to steroid therap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tool frequency on the fifth day and colonic dilatation were the only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related to treatment failure. Formulated numerical risk scores based on mean stool frequency, colonic dilatation, and hypoalbuminemi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responding group than those in the responding group (P<0.001). Using another scoring system (stool frequency on the third day+1.4×C-reactive protein [CRP]), treatment failur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in which the score was >8 than in the group with a score <8 (30.8% vs. 8.6%, P=0.042). Lastly, treatment failure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stool frequency >8 plus CRP >4.5 mg/dL or bloody stool plus CRP >4.3 mg/dL)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 at the third day (40% vs. 7.3%, P=0.004; 33.3% vs. 5.2%, P=0.014, respectively). Conclusions: Stool frequency and CRP level were the meaningful parameters among the predictors for steroid treatment response. Furthermore, several predictive models for steroid treatment failure in western countries seem to be of value for use in the Korean population. (Intest Res 2012;10:251-264)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