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연구1)
이윤정 , 이경옥
UCI I410-ECN-0102-2016-370-000218933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만4세, 만5세 남녀 유아의 기질, 놀이성, 문제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에게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 문제행동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특히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하고 지도하는 데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4, 5세 유아 316명을 대상으로 Thomas, Chess, Korn(1977)이 개발한 교사용 기질척도, Barnett(1991)의 유아놀이성척도, Burk의 행동평정척도Ⅱ(K-BBRS-Ⅱ)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유아의 기질은 기분상태가, 놀이성에서는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이, 문제행동의 경우 품행장애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과 문제행동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기질 중 접근-회피성과 적응성, 기분상태는 유아의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반응성과 문제행동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아의 놀이성의 경우, 신체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은 품행장애, 주의.충동성문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인지적 자발성은 정서문제, 사회적위축, 지적문제, 신체문제, 자신감결여와 같은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사회적 자발성은 문제행동과 전반적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합하면,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질과 놀이성을 고려한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 및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