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 3월 5일, 소련을 장기간 통치한 지배자, 요지프 스탈린의 사망이 국제정치적 상황, 더 특정하게는 한국 전쟁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케네츠 왈츠를 비롯한 신현실주의 학자들은 국내 요인과 국제 요인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국내의 정치적 요소들이 국제 체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매우 적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서방국가들과 이전 공산권 국가들에서 새로 공개된 서고의 문서 자료들과 1차 증언에 기반한 본고는 일국 안에서 일어난 온전히 국내적인 변화가 다른 국가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아가 국제 체제 전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입증하려 한다. 유럽 대륙에서 곧 미-소 간 전쟁이 곧 임박 했으며 미국의 군사적 역량을 한반도에 묶어 두는 것이 유럽 대륙에서 곧 발발할 전쟁에서 소련이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한다고 믿은 스탈린은 중공 지도자들과 북한 지도자들이 한국전쟁을 지속하는 작전에 대해 우려를 표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전쟁을 지속하고자 했다. 1953년 5월에 이르면소련 내부의 공산당 지도자들 모두가 한국에서 지속되는 전쟁을 중단해야만 한다고 여기게 되었다. 따라서 스탈린의 사망은 소련의 고위 지도자들로 하여금 일련의 정치 개혁을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준 것이었다. 소련의 외교 정책의 전면적인 선회와 그로 인한 중대한 국제 체제의 변화는 스탈린 사망 이후 소련의 고위 정책 결정자들에 의해 가능했다. 1953년 봄과 초여름, 특히 소련의 지도자들은 이제 한반도에서 스탈린이 고집한 ‘잘못된 정책’을 중단할 수 있었고 동시에 신속한 사태 종결을 추구했다. 1953년 봄과 초여름 소련의 정책은 얼마전 스탈린 지배 하에 견지되었던 정책 기조와 비교해 급격히 변화했다. 따라서 휴전 협정은 7월 26일 체결될 수 있었다.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death of the long-time ruler of the Soviet Union, Iosif Stalin, on 5 March 1953 to the broader international context and especially the Korean War? Regarding internal-external linkage in international politics, Kenneth Waltz and other structural realists have argued that the study of domestic politics is of little relevance to an understanding of system-level change. Based on the newly declassified archival materials and firsthand accounts from Western and former Communist countries, the author tries to determine whether purely domestic changes in one state can indeed have important effects not only on other countries, but on the whole international system. Stalin whose conviction had made him believe that a war would soon break out in Europe and attenuating U.S. military capabilities in Korea would serve as a diversion to help USSR win in Europe insisted that the Korean War continues in despite the misgivings of Chinese and North Korean leaders. By May 1953, no one in the Soviet leadership doubted any longer that the time had come for a settlement in Korea. Thus Stalin’s death opened a way for a group of high-ranking political leaders to carry out a flurry of political reforms. The impetus for far-reaching changes in Soviet foreign policy thus came mainly from above. Particularly Soviet leaders could now move away from long-entrenched position of Stalin’s “mistaken policy” in Korea towards the rapid cessation of the war in the spring and early summer of 1953. Soviet policy in the spring and early summer of 1953 changed almost completely from what it had been only a short time earlier under Stalin. Thus the cease-fire negotiations bore fruits in the armistice signed on 26 Ju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