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Review of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이숙향 ( Suk Hyang Lee )
DOI 10.19049/JSPED.11.3.14
UCI I410-ECN-0102-2016-370-000301066

통합교육의 양적, 질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국내 중등 통합교육은 구조적인 문제와 더불어 빈약한 연구토대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 통합교육에 대한 최근 10여 년 동안의 문헌들을 분석하여 국내 중등 통합교육의 연구동향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과제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 통합교육에 대한 국내문헌들 중 53편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논문들은 연구 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가지 연구 주제로 분류되었다: (1) 중등 통합교육 및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및 또래관계, (2) 중등 통합교육 및 관련 쟁점,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 및 부모의 인식, (3) 장애학생의 관점에서 본 중등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적응, (4) 중등 통합교육 관련 교수방법. 각 연구 주제에 따라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환경, 발표연도에 따른 세부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국내 중등 통합교육의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1) 중등 통합교육에 대한 장애학생과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조사, (2) 교사요구 중심의 지원 및 지원의 효과 검증, (3) 고등학교 통합교육 및 중등 교과운영 관련 연구 활성화, (4) 다양한 장애이해 관련 프로그램 및 역통합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5) 중등 통합교육의 다양한 쟁점 및 교수방법 관련 연구 활성화.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has faced challenges due to systematic problems and lack of research in spite of dramatic growth of inclusiv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by reviewing Korean literature related to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published for the last 10 years.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study, a total of 53 articles were identified. The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including: (1)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 (2)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on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3) adjustment in secondary inclusive settings from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4) instructional methods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After analyzing these four themes, each article was analyzed with sub-variables across four themes such as published year,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and setting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are provided as follows: (1) investigating perceptions and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on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2) examining effects of supports for teachers based on their needs, (3) research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in high school level and teaching academic subjects, (4) investigating effects of various programs to promote understanding disability including reversed inclusive education program, and (5) research regarding various issues of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