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종교에서 궁극적 실재에 대한 연구는 종교의 형이상학적 문제를 다루는 측면으로서 유용하다. 특히 대순사상(大巡思想)에는 한국 신종교에서 공유될수 있는 조화와 통합의 가치들이 궁극적 실재가 드러나는 양상 속에서 제시되며 나름의 독특한 형이상학적 이론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상제(上帝)와 신명(神明)에 대한 관념을 비롯해서 도(道), 무극(无極), 태극(太極), 대순(大巡), 천지(天地)와 지기(至氣)로 얘기될 수 있는 궁극적 실재의 개념들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개별 종교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궁극적 실재의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어 다면성이라는 특징으로 이해된다. 다면성의 네 가지 범주는 대순사상에서 직접 표현되고 있는 궁극적 실재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구분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다양한 측면의 나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되는 양태를 보이며, 조화되고 통합되어 나타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조화와 통합은 ‘인존’(人尊) 사상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인존’ 사상은 인간이 신과 같은 위상을 갖는 것이며, 도덕적 추구의 모습이며, 천지와 같은 존재이며, 모든 생동하는 기운을 함축하는 인간의 가치를 갖게 되는 사상인 것이다. 종교의 이상적 가치인 궁극적 실재의 문제가 고원한이상으로서가 아닌 인간적 차원으로 다가올 때, 궁극적 실재의 다양한 모습들은 보다 내면적인 것이 되며 삶의 일상적 가치 속에 스며들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궁극적 실재의 모습들이 하나의 종교사상 속에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은 종교사상이 갖고 있는 배타성을 넘어 종교와 종교, 인간과 인간의 대립과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형성한다. 통합과 조화의 한국적 사상이 종교의 근본적인 문제에까지 투영되는 것이다. 대순사상에서 궁극적 실재의 다면성을 확인하는 작업과 그것의 통합원리로서 ‘인존’ 사상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In Korean New Religion, the study on ultimate reality provides a useful aspect that deals with metaphysic issues of religion. Daesoon thought, in particular, suggests clearly the values of harmony and integration, which can be commonly shared in Korean New Religion, while uncovering the ultimate reality, and forms a unique metaphysical theory of its own. It shows various concepts of ultimate reality including the concept of Sangje(Supreme God) and Shinmyeong(gods of heaven and earth) as well as Dao(道), Mugeuk(Infinity,无 極), Taeguek(the Great Ultimate, 太極), Daesoon(Great Itineration, 大巡), Cheonji(Heaven and earth, 天地) and Jigi(Utmost energy, 至氣). This feature isconsidered as universalness because it includes various concepts of ultimate reality referred in each religion. The universalness has been classified into fourcategorie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ultimate reality that are directlydescribed in Daesoon thought. However, it doesn``t mean that it just lists all the different aspects of ultimate reality, but means it has a nature to mix all the aspects and consequentially harmonize and integrate them. Such harmonyand integration is represented through the thought of ‘Injon’(Human of nobility, 人尊). Thought of ‘Injon’ is a idea that places human being on an equal status to a god, and represents a human who pursuits morality and, as a being equal to heaven and earth, has a value of implicating energy of all living creation. When we approach the matter of ultimate reality, which is an ideal value of religion, not as some lofty ideal, but as something of humane dimension, the various aspects of ultimate reality can be more internal and become part of daily value of our life. In addition, being able to integrate various aspects of ultimate reality in one religious thought means it could form a theoretical foundation which goes beyond exclusiveness that religious thoughts have, and overcome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humans. It means the Korean thought of integration and harmony is projected into the fundamental matter of religion.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meaningful to do the work of verifying universalness of ultimate reality in Daesoon thought and study ‘Injon’ thought as its tool of un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