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근로자들이 직업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위해 일정규모이상(100명 이상) 사업체에 근무하는 청각장애인 중에서 20대에서 50대 사이의 남자 20명, 여자 10명, 모두 30명이었다. 설문조사는 청각장애인의 특성상 설문문항의 이해를돕기 위해 수화통역사를 통하여 직접보충설명하면서 자기평가기입 법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청각장애인의 직무관련 스트레스가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한 수가 많았고 그주된 요소를 인간관계를 들고 있었다. 이는 청각장애로 인해 원활한 의사소통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생기는 결과라고 하겠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근무환경에 대해 임금수준,근무환경, 근무시간, 복리후생에 관한 만족도에서는 임금수준과 근무시간에 대해서는 만족이불만족보다 더 높았고, 근무환경과 복리후생에서는 만족이 불만족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청각장애인들은 직업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요인으로, 의사소통의 불편함으로 인한 인간관계와 근무환경에서 수화통역서비스 및 상담서비스 등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job satisfaction of factory workers with a hearing disorder. I commissioned the survey with 30 people working in the companies of more than 100 employees. They were twenty men and ten women from their 20s to 50s in the survey. A sign language interpreter performed the survey to help them fully understand the each question. As a result, quite a few workers answered that they were stressed about their tasks. The main cause was rooted in the human relationship between normal workers and handicapped workers. They were unable to communicate sufficiently because of the hearing problems. Secondly, most worker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wages and on-duty hours. However, in the satisfaction measurement about job environment and welfare, they showed less contentment. In summary, I found out that many workers with hearing disorder were stressed by unsatisfactory communication. Also, the lack of availability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counselling services increased their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