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후보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태도 및 요구분석
The Study on Attitudes and Needs of Teachers for Special School with the Hearing Impaired toward Inclusion
최성규 ( Sung-kyu Choi ) , 김기생 ( Ki-saeng Kim )
DOI 10.19049/JSPED.5.2.04
UCI I410-ECN-0102-2016-370-000317935

통합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청각장애아동도 건청아동과 함께 생활하면서 수업 할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학교 교사의 대부분은 청각장애아동의 독특한 요구에 맞는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거나 실행하는데 여러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요구도를 분석하여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20개교의 학교장에게 공문을 발송하여 14개 학교에서 동의를 얻었고, 312매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238매(76.3%)의 자료를 수집하여 F와 χ2로 결과를 검증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청각장애학교 교사의 태도는 재직학교, 연령, 근무한 학교 수, 담당부별, 성별, 청각장애학교교사 자격증 소지 유무, 근무년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등과 같은 변인별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청각장애아동이 통합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청각장애학교로 돌아갈 수 있는 요인은 수업에 대한 부담감과 또래 아동과의 의사소통 결여가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였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하여 언어수준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과 정서적 안정 및 건전한 인성을 발달시킬 수 있어야 하고, 일반학교 교사는 청각장애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방안은 청각장애학생, 부모, 청각장애학교 및 일반학교 교사, 그리고 행정적인 지원 방안 등이 총체적으로 계획되고 운영될 때 가능하다고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ttitudes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ed concerning inclusion from teachers for thestudents with hearing impaired. Prior to initiating direct contact with the teachers, the principals of the all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ed in Korea were contacted via mail, and their permission secured. 238 teachers from fourteen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ed participated. One-way ANOVA procedures with repeated measures based on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Chi-Square were utilized to analyze what factorswere solved to guarantee effective management for the hearing impaired in inclusion environments. Thirty-question survey, twenty four using five-point Likert scale and six using chi-square were developed. This study concluded that : (a) the attitudes toward inclusion for the hearing impaired was accepted nega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fferent levers of instruction, ages,the private and public schools, sex, teacher licences, teaching experiences, inclusion attitudes,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main problem why the hearing impaired may not adopt was due to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nd (b) the main problem why the hearing impaired return to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ed was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nd communication problems with hearing pe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