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시차이론의 숙성기에 대한 연구 -숙성기의 "경험시차"와 이론적 메커니즘의 개발-
김태승
UCI I410-ECN-0102-2016-350-000341671

본 연구는 시차이론 숙성기의 제도화 특성을 살펴보고 인과적 메커니즘의 개발을 시도한다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1)시차이론의 발전을 저해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무엇인가? 2)숙성기의 제도화 특성과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3)숙성기는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정책성공을 설명할 수 있는가? 국성기의 제도화와 관련해서는 Lawrence, Winn and Jennings (2001)의 제도화 연구를 바탕으로 정책의 갈퉁적 특성들을 보완적으로 살펴본다 숙성기의 인과적 메커니즘과 관련해서는 먼저 국성기의 주요 기능을 ‘정책순응의 형성”으로 규정하고 도덕적 설득, 유인, 강압 및 처벌 등을 통해 이를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순응의 효과를 본 연구에서 새로 제시한 ‘(정책)경험시차”가 제약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정합성 확 보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궁극적으로 경험시차의 문제와 정합성 확보라는 대응을 통해 숙성 기와 정책성공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제시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