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먼저 교사들의 탐구지도 경험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여,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탐구 지도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관찰, 분류, 측정, 예상, 공정한비교 등을 강조하는 ‘과학 과정기능 중심’ 범주,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생성하도록 하는 ‘과학 문제발견’ 범주, 그리고 제시된 절차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며 과학적 개념이나 내용을 증명하는 ‘개념이나 내용 예증’ 범주이다. 다음으로 18개의 활동이 각각 적힌 카드를 ‘탐구를 통한 과학 수업’ 카드를 중심으로 한 이차원적 평면에 자유롭게 배치하도록한 후, 중심 카드와 각 카드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였다. ‘학생들이 적절한 절차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이 탐구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의 탐구 이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적극 활용되어야 하고, 나아가 초등학교 현장에서 탐구를 통한 과학교육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First,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licit teachers’ experiences of their approach to inquiry teaching. These self-reported approaches revealed three conceptions of teaching for inquiry learning in science: ‘science process skills-centered’ category focused on 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and fair testing; ‘generating scientific questions’ category focused on students’ question-generating; and ‘illustrate concept and/or content’ category focused on science content demonstration by making use of experimental procedures to obtain expected results. Second, teachers were asked to place 18 activity cards either close to or further from an ‘inquiry-based science classroom’ card. The relative distances from the activity card to the central classroom card were measured. The teachers perceived that students’ activity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procedures’ was the most important in supporting an inquiry-based science classroom. Understanding teachers’ views has implications for both the enactment of inquiry teaching in the classroom as well as the uptake of new teaching behaviors during profession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