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경제학의 대가인 헬레나 노르베르 호지는 물질적 풍요로움이 인간에게 근본적인 행복을 가져다주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진정한 행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세계화를 벗어나 지역화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도 라다크(Ladakh)의 사례를 통해 세계화 폐해에 대항하는 지역성회복 운동을 펼치고 있는 호지는 『오래된 미래『라는 저술의 역설적인 제목처럼 오래된 라다크의 문화 속에 우리 인류가 지향해야 할 미래의 모습이 있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라다크의 전통 사회로부터 배워야 하는 것은 자립과 자존감, 검소함, 조화와 지속성, 내면적인 풍요로움 같은 것들로서, 이미 지나간 ‘오래된’ 것에 우리가 찾는 ‘미래’가 있으며,그것이 진정한 ‘행복’이라고 보았다. 지역화(Localization) 이론으로 무장한 호지는 세계화를 주도하는 대기업의 횡포와 정치적 함의를 공격하면서 경제적 지역화가 우리에게 선한 행복을 제공한다는 이론을 『행복의 경제학『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오래된 미래『를 통해 그녀의 『행복의 경제학『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행복의 경제학『을 통해 드러난 지역공동체의 현대적 의미와 상호부조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하려 한다. 더불어 그 속에 진짜 행복과 복리가 있다는 ‘행복’에 대한 성찰과 그 의미를 조 명해 보고자 한다.
Master of Economics, Helena Norberg-Hodge is a material abundance does not bring happiness to human beings the fundamental point, and true happiness in order to realize globalization argue that move off the localization. Addition,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dia``s Ladakh through an instance of the verification. This paper seeks to highlight the unconditional happiness through technological civilization declined and traditional society is not caused by a regression. Hodge``s Ancient Future as seen in the writings of the paradoxical title, old Ladakh``s culture should not be our humanity in the future. We need to learn from traditional communities of Ladakh is the independent spirit, frugality, social harmon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things like internal richness, there we find on the Ancient Future in the future. Since Dr. Hodge is the tyranny of the big corporations and the globalization of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economic localization, we are happy to offer a theory of that line. This paper is Ancient Future through her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 The Economics of Happiness, and the economics of happiness modern high profile communitiesthrough meaningful and rediscovering the value of mutual aid. I find the value and meaning of a real happiness and real in the welfare economics of ‘happiness’ in the moder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