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9.247.95
3.149.247.95
close menu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
최미숙 ( Mi Sook Choi ) , 공진희 ( Jin Hee Kong ) , 박은영 ( Eun Young Park )
UCI I410-ECN-0102-2016-370-000417070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의 사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14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의 평정을 통해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을 검사하였고, 담임교사에 의해 유아의 정서지능을 검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정서지능의 관계를 살펴보면 긍정적 태도와 타인정서 인식은 정적 상관관계인 반면, 의존성 조장 태도와 정서 지능 전체, 자기정서 조절, 타인정서 조절은 부적 상관관계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의존성 조장 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관계를 살펴보면 민주적 태도와 외현화 문제행동, 긍정적 태도와 외현화 문제행동 및 내면화 문제행동은 부적 상관관계인 반면, 통제적 태도와 외현화 문제행동 및 내면화 문제행동, 의존성 조장 태도와 외현화 문제행동 및 내면화 문제행동은 정적 상관관계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중 긍정적 태도는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면화 문제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인 반면, 의존성 조장 태도는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면화 문제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114 five-year-olds of private kindergarten in G city and their mothers. The mothers were measured with their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A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examined by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ttitude and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pendence encouraging attitude and whole emotional intelligence, an emotional control of self and others. As well as, a dependence encouraging attitude i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was a negative indicator of a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democratic attitude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positive attitude and externalized/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controlling attitude and externalized/internalized behavior, dependence encouraging attitude and externalized/internalized behavi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s well as, a positive attitude in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was a negative indicator of externalized/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On the other hand, dependence encouraging attitude was a positive indicator of externalized/internalized attitud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