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우수
남산 회현자락 설계 공모 출품작에 대한 역사도시경관적 분석
Analyzing the Design Competition Entries for the Hoehyeon Section of Namsan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서영애 ( Young Ai Seo )
UCI I410-ECN-0102-2016-520-00043546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남산 회현 자락 설계 공모에서 수상한 작품을 역사도시경관 관점으로 분석하여, 각 설계안의 역사도시경관 접근 특성을 분석하고, 한계와 시사점을 도출했다. 회현 자락은 남산에서 한양도성과 공원의 변화가 가장 많은 장소로서 최근 발굴을 통해 조선시대의 성곽 유구와 일제 강점기의 흔적이 확인된 바 있으며, 근·현대의 공원 시설이 공존하는 대상지다. 역사도시경관 개념과 접근 방법, 전문가 논의, 현상 공모 지침서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분석 항목으로 장소성과 문화다양성의 이해, 시간적 층위의 인식과 설계 구현, 보존과 공원 이용 방법, 향후 관리 방안으로 구분하여 출품작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역사도시경관 관점에서 볼 때 각 출품작은 장소성과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시간적 층위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보존 대상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창의적인 개입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보존과 이용이라는 상반된 개념을 통합하는 면에서는 보다 실효성 있는 대안이 요구된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보존과 개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 방식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역사적 층위가 중첩된 서울의 가치 있는 대상지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서는 조사와 맵핑을 통한 역사경관 기본 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외된 지역 주민 참여, 민관 네트워크에 의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앞으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대상지의 설계에 방향을 제고해 줄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ries at the design competition for the Hoehyeon section of Namsan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and made suggestions from them. Hoehyeon, located at the foot of Namsan, is the most changing site in the park and Seoul City Wall. Recent excavation of the old city walls of the Joseon Era has uncovered evidence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making it a site where park faciliti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oexist. The frame analysis has been made by the concept of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the methods of approach, specialists’ discussion and the guidelines of the competition. The entries were analyzed by classific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ity and cultural diversity, the recognition of the periodic layers of time, and the design implementation, the preservation, the park plan, and the future management plan. From a perspective of an Historic Urban Landscape, this study has found that each entry placed priority on the objects for preservation and suggested creative involvement and comprehensive designs for the preservation and the park pla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ity and cultural diversity and the reflection of the periodic layers of time in the designs. This study provided two implications. Firstly, there was a possibility for new recognition and the methods of approach fo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Secondly, the basic plan for the Historic Landscap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research and mapping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objects in Seoul having valuable historic variability. Further study for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process by network from public to private should be taken. This study looks forward to the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design plans of places with historic and cultural value.

Ⅰ. 서론
Ⅱ. 역사도시경관의 개념, 접근방법, 연구동향
Ⅲ. 회현자락의 특성, 변화, 쟁점
Ⅳ. 출품작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