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서 동경이란 지명은 경주를 가리키는 일명으로 된 적이 있으며 지금껏 그런 인식은 이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주를 동경으로 부르기 시작한 시점을 고려 초 成宗 때의 일이라 이기고 있다. 그렇지만 그런 인식은 여러 모로 再考의 여지가 높다. 왜냐하면 그보다 훨씬 앞서 신라 때부터 왕경을 동경이라고 부른 몇몇 사례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9세기 후반에 지어졌다는 處容歌란 鄕歌에 동경이란 지명이 보인다. 이를 고려시대의 것이 그처럼 추기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이는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모든 향가를 그렇게 볼 가능성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특히 9세기 초 경남 山淸의 斷俗寺에 세워졌던 神行禪師碑에 신라 왕도를 동경으로 불렀던 사례가 보임은 신라 때부터 경주를 동경이라 불렀던 결정적 자료로 손꼽을 수 있다. 이처럼 신라 왕도를 동경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 고려 초가 아닌 신라 때부터라면 이는 여러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할 여지가 생겨난다. 언제 어떤 배경에서 동경이라 불리었으며 그것이 갖는 의미나 의의가 어떨까 하는 등등의 문제들이다. 늦어도 8세기 중엽부터 신라인들은 자신의 왕경인 金城을 동경이라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그 밑바탕에는 당시 크게 高揚된 문화 수준과 그에 따른 自尊의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당나라와 대등하다는 자존 아래 그 수도였던 長安이 西京으로 불린 데 대한 대응으로서 금성을 동경이라 부르는 인식이 생겨나 확산되어 갔던 것이다. 물론 그것이 공식적 입장은 아니었으며 일각에서 당 문화 일변도에 대한 대응이다. 그런 점은 822년 金憲昌이 난을 일으키면서 국호를 長安이라 내세우고 慶雲이란 연호까지 사용한 데도 뚜렷이 반영되어 있다. 만일 이런 추정이 설득력을 갖는다면 앞으로 신라의 내부 문제 뿐만 아니라 羅唐의 외교관계도 전면적 재검토를 거쳐야할 부분이 적지 않다고 하겠다.
The place name “Donggyeong” once referred to Gyeongju in the Korean history and such perception has lasted. In general, the time to call Gyeongju “Donggyeong” was regarded as the period under the reign of King Seongjong in early Goryeo. However, such perception has much room to be reconsidered in many aspects, because several examples have been confirmed that the royal capital was called “Donggyeong” from the Silla Dynasty, which was a way earlier period. For example, the place name “Donggyeong” is found in Hyangga (old Korean folk songs) named Cheoyongga (The song of Cheoyong) composed in the late 9th century. Some say it was written as a postscript in the Goryeo Dynasty. However, this is a very risky idea because there will be possibilities to consider every Hyangga in that way. In particular, one of the most decisive resources that Gyeongju has been called “Donggyeong” since the Silla Dynasty was the case of Sinhaengseonsabi (Stele for Master Sinhaeng) built in Dansoksa Temple in Cheongsan Mountain in Gyeongnam Province in the early 9th century, where the capital of Silla was recorded to be called “Donggyeong”. Like such, if the period to start calling the capital of Silla “Donggyeong” was the Silla Dynasty rather tha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re are rooms for new interpretation in many ways. They include the issues such as when and under what backgrounds the city was called “Donggyeong” and what kind of meaning and significance it had. The people in Silla had started call “Geumseong”, the royal capital, “Donggyeong” since the mid-8th century at the latest, which is regarded to be based on the significantly enhanced cultural level of the country at that time and subsequent sense of self-respect. With self-respect to be equivalent to the Tang Dynasty, in response to that Jangan, the capital of Tang, was called Seogyeong, people started to adopt the awareness to call Geumseong “Donggyeong”, which was expanded. Of course, it was not an official position of the country. Rather, it was a response to the lopsided pro-Tang culture by some people. This was clearly reflected in that Kim Heon-chang waged an uprising in 822 and set the name of the country as “Jangan” and even used the era name of “Gyeongun”. If this assumption is considered persuasive, there should be a lot to be reexamined in a comprehensive manner about not only the internal issues of Silla but also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