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서 유권자들은다른 이유로 투표하는가?: 동원과 시민성의 선거 간 차별적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Mobilization and Civic Duty on Vote Turnout: A Comparison between the 2014 Local Election and the 2012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김석호 ( Seokho Kim ) , 한수진 ( Soo Jin Han )
조사연구 16권 3호 105-139(35pages)
UCI I410-ECN-0102-2016-330-000436442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의 선거참여 과정에 대한 설명이 전국단위 선거와 지방선거에서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바탕으로 한다. 그 차이를 드러내는 요인으로서의 동원(mobilization)과 시민성(civic duty)이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지방선거와 전국단위 선거인 국회의원 선거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 대하여 동원의 영향력이 차별적으로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두 선거에서 드러난 동원의 영향력이 시민성에 의해 어느 정도 조절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가 수집한 2014년 지방선거 유권자 조사자료와 2012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조사자료를 동일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 모두에서 유권자가 다양한 사람 또는 집단으로부터 특정후보에 대한 지지요청을 받을수록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진다. 둘째, 지방선거에서는 ‘후보자 및 선거운동원’으로부터의 후보지지요청을 받은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국회의원선거에서는 ‘가족과 친척’으로부터 요청을 받은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진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동원의 선거참여에 대한 효과가 두 선거에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동원과 시민성이 선거참여에 대해 갖는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방선거의 경우 시민성의 수준이 높은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에서 동원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국회의원선거의 경우 동원이 선거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민성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선거에서의 동원은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 모두에서 선거참여를 높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지만 지방선거에서는 그 효과가 시민성의 수준에 따라 변하는 반면,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권자의 선거참여 과정이 선거유형에 관계없이 일정할 것이라는 설명에 의문을 제기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이론적 자원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제한적으로나마 밝혔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Since data on voting behavior firstly were collected in the early 1990s, there has been enorm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irical studies on this issue in social science, especially in political science in Korea. After local elections were adopted to elect governors, mayors, and local council members in 1995, furthermore, the empirical approach becam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in Korean election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tend to employ the same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Unfortunately, social scientists in Korea have few explanations for how people differently vote between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Despite the same voter responds differently to presidential election and local election, for instance, little is known about how local elections are different from national election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systematic differences in voting turnout and vote choice between the national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and local elec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effects of mobilization, civic duty, and their interaction. Whether mobilization has differential impact on vote turnout between the 2014 local election and the 2012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and how this effects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ivility are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verifies how the mobilization effect is moderated by civic duty depending on the different types of ele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ters who are exposed to mobilization are more likely to vote in both elections. Second, the mobilization by candidates or political activists is most influential to vot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 while the mobilization by family members or relatives is most salient in the national election. Third, the effect of mobilization is significantly varied by the level of civic duty in local election, whereas it is not in the national election.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bilization and civic duty on vote turnout is found in the 2012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eterminants of vote turnout in the national election differ from the ones in the local election, thereby emphasizing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differential framework to explain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between different types of elections in genera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