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시설 심리장애 청소년의 YSR과 그들의 생활지도사가 평가한 CBCL 6-18을 각각 실시하여 심리장애 유형별, 성별, 공존질환의 개수별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3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 지원 시범 사업”에 참여한 심리장애 중?고등학생 중 YSR과 CBCL 6-18 결과가 모두 있는 93명과 그들의 생활지도사 84명이었고, 이들을 심리정서문제유형, 행동문제유형, 복합문제유형의 3개 심리장애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도구는 YSR과 CBCL 6-18이었다. Fisher의 z transformation을 실시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YSR과 CBCL 6-18의 일치도는 신체증상, 규칙위반, 사회적 미성숙, DSM 신체화 문제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심리장애 유형별로 일치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신체증상 척도와 DSM 신체화 문제 척도에서 여자 청소년의 평가일치도가 남자 청소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공존질환의 개수별로 일치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아동복지시설에 입소한 심리장애 청소년의 평가에 있어 행동 평가척도를 사용할 때의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verified agreement between YSR and CBCL 6-18 and did so by examining the results from adolescents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and their residential caregivers at welfare institutions by the types of psychological disorders, gender, and the number of comorbidity.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9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who had been supported by a pilot project run by the Korean Child Welfare Society. The YSR and CBCL 6-18 was used as research tools. This study used Fisher`s z transformation to measure effect size. The result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agreement between YSR and CBCL 6-18 in somatic complaints, rule-breaking behavior, social immaturity, and somatic problems. Female adolescences had much stronger correlations in somatic complaints and somatic problems than those of 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lid directions in establishing guidelines for assessment criteria when it comes to the evaluation of adolescents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at child welfare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