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김춘수의 시정신과 창작기법
Poetic Spirituality and Creative Techniques of Kim Chun-Su
조윤경 ( Yun Gyeong Cho )
용봉인문논총 33권 93-134(42pages)
UCI I410-ECN-0102-2016-000-000442254

본고는 우리 현대문학에서 새로운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한 김춘수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의 시 정신과,오늘날 새로운 형식에 대한 신선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그의 여러 창작 기법을 고찰하는데 목표를 둔다. 첫 번째 논의에서는 김춘수의 시 정신을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일반적으로 김춘수 시를 두 갈래로 분류했을 때, 첫 시집 『구름과 薔薇』를 낸 1948년 이후부터 「打令調 其他」를 낸 1969년까지를 초기시 또는 ‘有意味詩’로 분류하며,1977년에 발간된 「南天」이후부터 1991년에 발간된 연작 장시「處容斷章」이후를 후기시 또는 ‘無意味詩’로 분류했다. 이런 관점으로 먼저 그의 초기시에 드러나는 특정인,존재에의 탐구와 의미의 지향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후기시에서 그는 존재 탐구의 시도를 통해서는 언어의 한계가 극복되기 어려움을 인지하고,대부분 관념과 의미를 제거하는 기법의 탐구를 통해서 ‘무의미’를 추구하는 세계로 진입하였다. 두 번째 논의에서는 이 같은 그의 시정신을 바탕으로 실험적 시도인 패러디기법과 의미론적인 해체를 지향하는 꼴라쥬 기법을 고찰하였다. 먼저 장르간의 패러디와 장르 내적 패러디 양상을 살펴보았고,다음으로 기존의 세계를 벗어나 자유연상을 통한 꼴라쥬 기법을 통해 무의미를 지향하는 창작 기법을 살펴보았다. 오늘날 지금까지의 문화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문화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패러디나 패스티쉬,꼴라쥬 등은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더니즘과의 깊은 관련성 속에서,텍스트의 고정된 권위를 해체하고 텍스트의 내향성을 탈피하며 다른 텍스트와 결합하여 보다 큰 담론을 이루는 상호 텍스트 성과도 관련이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현대시에서 시적 표현의 다양성 확보와 시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이미 김춘수 시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김춘수가 여러 차례의 시적 변모 과정을 겪으면서 다양한 전위성과 독특한 시 세계를 구축하고 있던 시인으로 철저하게 자신의 세계관과 시 이론에 근거해서 작품을 썼음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그는 후기 시에 드러나는 의미 해체를 위한 다양한 시도로 고정된 이미지를 벗어나 여러 관념들을 자유연상을 통해 배열하고 있었다. 이는 그가 의도적으로 무의미를 지향함으로 써,대상의 본래적인 의미를 제거하고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새로운 순수한 환경을 형성하여 자신만의 독자적인 시 세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김춘수의 이 같은 창작기법들이 오늘날 한국 현대 시사에서 새로운 면모로 받아들여 질 뿐만아니라,현대 시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우리 시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하나의 획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음을 고찰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reviewed the poetic spirituality of Kim Chun Su`s post-modem tendency who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odem literature in Korea and his various creative writing techniques which has initiated the new method of discourse.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examined Kim Chun Su`s poetic spirituality in two aspects. Firstly, his search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an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his early works, as shown in his works such as 「Flower」, 「Prologue for a Flower」 and 「The Bare Tree: a Prologue to a Poetry」 in particular, was reviewed. Then the nature of his poetry has changed from meaning-sought tendency which represents his early works to `the poetry of no meaning` , an absolute language, that reflects various images on the way to pure world.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deals with a parody technique, an experimental try which is shown throughout his overall poetry and with a collage technique that denies semantics. Without any boundaries in literature, he has used parody from other poetries and from other genres. Lastly, the poetry of no meaning which represents collage technique through a free association, being away from a fixed world and ideas, was examined. The parody, pastiche, collage etc., an alternative culture in order to get over the modem cultural limitations, which are deeply related to the post-modernism of late twentieth century, are techniques used to eliminate a fixed authority in the text. These are the techniques that Kim Chun Su has actively used in his poetry. Consequently, this study found that his unique experimental and various avant-garde style poetry, having gone through different stages of his poetic process, has reflected on his works based on his world view and poetic theory. His unique style of creation is meaningful in the Korean modem poetry as a new aspect, exercising significant on-going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our modem poet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