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 논문에서 과학혁명기의 이론 선택 과정을 분석하는 데 베이즈주의 방법론이 유용한 도구임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 변화에 대한 쿤의 주장을 베이즈주의적으로 재구성한 새먼의 작업을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둘째, 공약불가능성 논제에 근거한 화마키스의 비판을 검토하고 이를 논박할 것이다. 셋째, 여영서의 패러다임 의존적인 베이즈 알고리듬의 한계를 지적하고, 그와는 다른 방식으로 공약불가능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혁명기의 이론 변화를 분석하는 데 베이즈주의 입증 이론이 유용한 도구임을 화학혁명의 사례 분석을 통해 보일 것이다. 공약 불가능성 논제는 베이즈주의를 무너트리지 못한다.
In this paper, I try to show that Bayesianism is a useful tool to analyze theory changes in scientific revolutions. For this purpose, first, I present a sketch of Salmon`s Bayesian reconstruction of theory change in scientific revolutions. Second, I examine and refute the Farmakis` skeptical argument based on the incommensurability thesis. Third, I point out the weaknesses of Yeo`s paradigm-dependent Bayesian Algorithm(PBA), and then I suggest another way to deal with the threat of incommensurability. Finally, I analyze the chemical revolution case by means of the Bayesian Algorithm(BA).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incommensurability thesis could not defeat Bayes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