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5.145.111
3.15.145.111
close menu
KCI 등재
미국 ESL 교육과정 "WIDA" 고찰을 통한 KSL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A Study on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Reflecting Analysis on American ESL Curriculum
김윤주 ( Yoonjoo Kim )
UCI I410-ECN-0102-2015-700-001765240

미국의 ESL 교육과정 WIDA는 2004년 처음 발표된 이래로 2007년, 2012년 두 차례 더 내용이 수정 보완되어 발표되었다. 학교생활과 교과 수업 맥락에서 학문적 언어능력을 향상시켜 같은 학년의 학업을 수행함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 WIDA가 추구하는 근본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ESL 교육과정이지만 타 내용교과와의 연계성을 중시하며 타 교과에서 추출한 주제와 장르는 물론 인지적 기능 유형,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교과별 담화의 특수성까지 담아내고자 시도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학년군 체제의 변화가 가장 큰데 초·중학교는 각 학년별 기준을 제시하고 고등학교는 9-10, 11-12학년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특히 2012년 WIDA에서는 ESL 교육과정이 장차 이들 학습자로 하여금 대학 수학과 직업 준비를 위한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갖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으며, 지역성과 학교의 특수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변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미국의 ESL 교육과정의 변화 과정과 현재의 체계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우리의 KSL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바에 대해 제언하였다. 현재 한국어 교육과정의 생활 한국어 학습 한국어의 이원 체계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하며, 현재의 학교급 체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언어 등급별 숙달도 수준을 기술함에 있어서도 문장 형식을 좀 더 정교화 하여 의미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용교과 영역과의 연계와 관련해 한국어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 수준까지 명시해야 하는가에 관한 합의를 도출해야 하며, 내용 중심 교육과정 도입을 위해 이론적으로 기술적으로 숙달할 수 있도록 교사를 위한 안내가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문화 영역의 명시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American ESL curriculum, WIDA, introduced in 2004 have been revised twice in 2007 and 2012.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WIDA is improving academic language fluency in the context of school life and curriculum of certain grade. Therefore, WIDA emphasizes extracting themes, genres, cognitive functions, and socio-cultural contexts of other curricula for ESL educational contents. For this end, WIDA provides educational goals of every grad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SL programs while introducing two grade clusters goals in High School programs. Meanwhile, 2012 WIDA elucidates that ESL curriculum should be helpful in preparing college education and job preparation and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of KSL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past evolutionary paths of American ESL curriculum. There is a need to revise grade clusters of KSL system. Contents of KSL texts should be elaborated reflecting fluency criteria of each grade. Consensus should be made regarding how much contents of other curriculum need to be imported KSL curriculum. Guidance for KSL teachers should be provided because they need to have opportunities in mastering theories and practices of contents-based KSL education. Lastly,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on the way of projecting cultural aspects to KSL contents.

I. 서론
II. 미국의 ESL 교육과정 개관
III. WIDA의 특징과 변화 양상
IV. KSL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V.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