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종사자의직무스트레스와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Division 5 ; The Influence of a Forest Healing Program on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and Mental Health Care Workers`s Job Stress and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신창섭 ( Chang Seob Shin ) , 연평식 ( Poung Sik Yeoun ) , 김영규 ( Young Gyu Kim ) , 엄재옥 ( Jae Ouk Eum ) , 임영란 ( Young Ran Yim ) , 윤수복 ( Soo Bok Yoon ) , 박석희 ( Suk Hee Park ) , 김인옥 ( In Ok Kim ) , 이상희 ( Sang Hee Lee )
DOI 10.14578/jkfs.2015.104.2.294
UCI I410-ECN-0102-2015-500-001773071

본 연구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와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A시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8명과 C도의 정신보건종사자 24명을 대상으로 1박2일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사전-사후의 설계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기분상태 요소인 긴장-불안, 우울, 분노, 곤란, 피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활기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산림의 치유기능이 활용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뿐만이 아니라 소진예방프로그램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forest healing program on the level of job stress and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38 public servants who were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n A city as well as 24 metal health care workers in C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both job stress and POMS level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forest healing program. The therapeutic effects of forests are highly expected to be utilized for healing programs for job stress reduction and burnout prevention.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