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생장지역에 따른 소나무 형성층 활동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Cambium Activity of Pine Trees at Different Growth Sites
박소연 ( So Yeon Park ) , 엄창득 ( Chang Deuk Eom ) , 서정욱 ( Jeong Wook Seo )
UCI I410-ECN-0102-2015-500-001777064

동일 수종이라도 생장지역과 영급에 따라 수형 또는 재질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러한 차이는 형성층 활동에 따른 목부세포의 양과 질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게 된다. 본 연구는 소광리와 안면도에서 자라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형성층 활동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여 소나무 목재의 재질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형성층 활동 분석 결과, 소광리 5영급 임분은 목재세포 분열을 4월 중순에 시작하였으며, 안면도는 5영급과 9영급 모두에서 4월 초에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광리 9영급의 경우는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으로 조사되었다. 형성층에서 세포분열이 종료되는 시기는 소광리 9영급을 제외하고 소광리와 안면도 모두 10월 중순부터 10월 말로 조사되었다. 소광리 9영급의 형성층 내 세포분열 종료는 10월 초였다. 형성층의 계절별 활동을 조사한 결과, 소광리의 형성층 분열기간이 안면도보다 짧게 나타났다. 반면, 소광리 소나무의 형성층으로부터 분열된 세포 수는 안면도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espite of the same speci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ree shape and its wood property due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s in wood cells by the intra-annual cambial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base of intra-annual cambial seasonal activity for red pine in Sokwang-ri and Anmyondo for the determination of their wood qualities. As the results of intra-annual cambial activity, the initiation of cambial activity of red pine in the plots with Age Class V in Sokwang-ri was in the middle of April and it was at the beginning of April in all plots in Anmyondo. Only the plots with Age Class Ⅸ in Sokwang-ri showed relatively late initiation of cambial activity as between middle of May and middle of June. Except one plot with Age Class Ⅸ in Sokwang-ri all plots in both sites showed the same cessation of cambial activity as between middle and end of October. According to intra-annual cambial activity, the duration of cambial activity in Sokwang-ri is shorter than that of Anmyondo.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cell division of cambial activity in Sokwang-ri was more than those of Anmyondo. We could establish the database for intra-annual cambial activity for Sokwang-ri and Anmyondo to estimate their wood quality.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