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전적 자유주의는 고전적 자유주의와 평등주의적 자유주의를 통합하려는 자유주의 최근 조류이다. 이들은 고전적 자유주의와 마찬가지로 경제적자유가 기본적 자유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고전적 자유주의와 달리 평등주의적 자유주의 관점에서 경제적 자유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신고전적 자유주의는 평등주의적 자유주의의 사회정의를 수용하면서도. 이는 시장을 통해서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광범위한 경제적 자유가 기본적 자유로 인정된다면, 사회 보장과 사회안전망 구축은 극히 제약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차등의 원칙이 만족된다는 보장이 없다. 또한 광범위한 경제적 자유를 기본적 자유로 격상시키는 것은 사실상 효율성 주장으로 환원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자유의 가치가 자율적 주체로서의 개인들의 도덕적 능력이라는 관점에서 인식될 수 있다면, 경제적 자유의 범위는 새롭게 정의될 수 있을 것이며, 경제적 자유와 사회정의가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있다.
Neoclassical liberalism refers to the recent movement of liberalism toward the integration of classical liberalism toward the integration of classical liberalism and egalitarian liberalism. While, Classical liberalism, neoclassical liberalism holds that economic liberties should be recognized as basic rights. It attempts to morally justify economic liberties in terms of egalitarian liberalism. Neoclassical liberalism emphasizes social justice and argues for the efficient achievement of social justice through market forces. However. It suffers some problems that, if thick economic liberties are accepted as basic liberties, the difference principle is not necessarily satisfied since social security systems and social safety net programs are limited, and neoclassical liberalism is reduced to the efficiency argument. Nevertheless, we believe that economic liberties and social justice might be successfully integrated if economic liberties are might be successfully integrated if economic liberties are identified with the moral power of responsible self-authorship thus the scope of economic liberties is newly interpre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