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서사의 작중인물과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인물 이론-
Narrative Characters and "Theory of Mind" -Character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노대원 ( Dae Won Noh )
UCI I410-ECN-0102-2015-800-001825371

이 논문은 작중인물의 서사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관점의 도입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인지 심리학과 인지 서사학의 관점, 그리고 미하일 바흐찐의 대화주의적 소설론 등 다양한 이론적 시각을 참조하는 학제적 프로그램을 통해서 신체화된 상호주체성의 현상학을 논의하여, 서사의 대화적 윤리학을 위한 새로운 지평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그 동안 작중인물의 이론은 쇠퇴 일로에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서사의 미학적 경험과 독자의 인지적 해석 과정, 수사학적 효과에 주목하는 포스트-고전서사학의 부상으로 ‘작중인물의 부활’이 목격된다. 특히 문학적 인물을 언어적 구성물로 보기 보다는 현실적 인물과의 유사점에서 출발하는 논의들은 인물 이론을 갱신하는 데 유용하다. 실제 서사 현상에서 독자들은 작중인물을 이해하고 공감하고, 최종적으로 서사에서 문학적 감동을 일으키는 인간다움(humanness)을 지닌 실제적인 존재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인지 심리학에서, 독자가 서사 텍스트로부터 작중인물을 구성하고 인지하는 과정은 일상생활에서 자신과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 즉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으로 설명될 수 있다. 마음 읽기 또는 사회적 인지(social cognition)는 생존을 위한 진화론적 기제로, 상호주관적 관계에서 언어보다 더욱 근본적이다. 우리는 언어나 대화없이도 얼굴 표정과 몸짓 등으로 타인의 내면을 헤아릴 수 있으며, 이는 신경과학의 거울 뉴런(mirror neuron)으로도 설명된다. 텍스트 세계 내에서도 인물들은 신체화된 상호주체성을 기반으로 서로 ‘접촉’하면서 서사적 주제와 의미를 생산해낸다. 독자 역시 이러한 인지 과정 속에서 서사적 인물을 인격적 존재로서 받아들이면서 그들과 공감하면서 문학적 대화에 참여한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narratological character theories, and proposes a new cognitive literary theory.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cognitive narratology, theories of fictional characters also seem to have been revived. Readers feel sympathy and understanding for the characters, and accept them as real human beings. Ultimately, suc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mind and a novel``s characters can create a particular literary affect. In cognitive psychology, the reader``s process of configuring characters from the narrative text is described as, "theory of mind," which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oneself and another person``s mind in everyday life. Such mind-reading―or social cognition―is an evolutionary mechanism for survival, more fundamental than language in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In the "text world", fictional characters can also "touch" each other, on the basis of "embodied intersubjectivity."

Ⅰ. 작중인물은 살아있는가?
Ⅱ. 마음의 이론(ToM)을 통한 인물의 마음 읽기
Ⅲ. 인물 간 ‘접촉’과 신체화된 상호주체성
Ⅳ. 인물의 인격성과 공감적 대화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