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8
216.73.216.138
close menu
국가 IT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상위 온톨로지 설계에 관한 기초연구
류병래
UCI I410-ECN-0102-2015-700-001890208

본 연구는 『국가 IT 온톨로지 인프라 기술개발』 연구에서1) 진행하고 있는 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이하 IT)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상위 온톨로지 (Upper Ontology)의 설계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축하려는 IT온톨로지의 상위층위 클래스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다. 온톨로지(ontology)란 그리이스어 ``ontos``(being)과 ``logos``(words)에 그 어원을 두고 있다. 이는 원래 철학(philosophy), 더 구체적으로는 형이상학(metaphysics)의 한 분야로서, 존재 (being, existence)의 본질에 관한 학문이다. 존재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서는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개체의 정의와 범주화 그리고 분류, 그들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 등에 대한 이해가 명확해져야 한다. 최근 온톨로지는 철학 뿐만 아니라 언어학, 문헌정보학, 인공지능, 자연언어처리, 최근에는 시멘틱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제이다. 언어학에서는 인지의미론이나 어휘의미론, 범주론, 형식의미론 등의 분야에서 온톨로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개념적 공감대가 아직은 명확하게 서 있지 않은 상태라고 평가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유된 개념화에 대한 형식적이고도 명시적인 기술(A formal, explicit specification of a shared conceptualization)로 이해가 되고 (Gruber (1993)), 그 구체적인 모습은 어느 특정 영역을 모형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공유 어휘 (A shared vocabulary, which can be used to model a domain)로 나타난다. 이 공유 어휘는 개체들의 유형과 개념, 속성, 관계 등을 가리킨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