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을 대상으로 미술 치료를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대상자의 우울 감소와 등교거부행동 소거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기간은 2014 년 5 월 2 일부터 9 월 12 일까지 주1회 50 분씩 총 18 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장소는 S 시에 소재한 A 정신과 미술치료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도 구로는 투사검사인 동적학교생활화(KSD)와 Beck 의 우울 검사(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전과 사후 에 실시하여 학교 동료관계에 대한 지각 불안과 우울수준의 변화된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으로는 각 회기별로 그림과 태도변화 기록들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등교거부행동 변화 및 또래관계 개선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의 우울 수준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가여중생의 정서를 안정시킴에 따라, 우울지수가 35 점(심한 우울)에서 5 점(우울하지 않은 상태)으로 대상자의 우울감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의 등교거부행동 소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별 행동관찰 및 변화기록을 살펴보면, 결석 3 회, 지각 2 회에 서 결석 없음, 지각 1 회의 변화가 나타났고, 대상자의 학교생활화(KSD)에서 사전에는 또래들과 단절되어 혼자 음악을 듣고 있는 모습이 나타났으나, 사후에는 친구와 웃으며 팔짱을 끼고 매점으로 향하는 모습이 그려져 등교거부 행동이 소거되고, 아울러 또래관계가 개선되어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는 대상자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등교거부행동을 소거시켜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Key Words School Violence(학교폭력), Depression(우울), Art Th erapy(미술치료)I.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청소년 시기에는 하루 활동 시간 중 거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내면서, 그들의 학문적·직업적인 미래를 준비하고, 사회인으로서의 교양과 자질을 습득한다. 그래서 학교생활은 그들의 성장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청소년기의 삶 그자체이며 1), 다양한 문제를 중재하기 위한 특별하고도 안정감 있는 2) 공간이어 야 한다. 그러나 최근 학교에서는 많은 언어적·비언어 적 폭력사례들이 늘어나고 있어 학교가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2012)에서는 학교폭력을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따돌림,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다. Olweus(1981)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행위를 강조하며, 이와 더불어 폭력의 유형으로 위협, 조롱, 때림, 발로차기, 들볶음, 꼬집음, 따돌림 등 물리적이거나 비 물리적인 행위 모두가 폭력에 해당된다고 하였고 3), Hans Tiersch 는 폭력의 유형을 물리적 폭력, 심리적 폭력, 구조적 폭력의 세가지 형 태로 구분하고 있으며, Maclintock 는 청소년 폭력을 도구적 폭력, 개인 간의 폭력, 이념적 폭력, 동기 없는 폭력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학교 폭력의 개념은 접근하는 방식과 주체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발생장 소, 가해와 피해의 대상, 폭력 행위의 유형등에 있어 서 다르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폭력의 정의를 학교와 관련하여 일어나는 폭력행위로 개인이나 또래집단에 의해 지속적인 집단 따돌림, 욕 설, 협박 등의 심리적, 언어적 폭력행위에 노출되는 것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청소년보호법 제 2 조에서는 청소년폭력을 “폭력을 통해 청소년에게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발생하게 하 는 행위”로 규정하면서 폭력가해보다는 피해에 더 많 은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학교 폭력의 피 해자들이 겪는 직접적인 고통이나 학교폭력에 따른 영향이 심각하기 때문이며, 장시간 학교 폭력에 노출 되는 경우 심리적 또는 정신적인 피해가 크게 나타나 자살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2013 년 청소년 통 계청에 나타난 학교폭력 실태 5)에 따르면, 중.고등학 교 폭력 피해 유형 중 집단 따돌림은 38.2%로 욕설 및 폭언(56.2%)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고, 최초 폭력 노출 연령은 초등학령기가 75.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점차로 노출 연령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 년폭력 예방재단(2013)6)에 나타난 성별 학교 폭력 피 해유형은 여학생이 20.1%, 남학생인 9.1%로 그 피해가 여학생에게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은 등교 공포, 학교결석, 학교활동의 기피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자신의 안전에 대한 불안은 학교에서의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실제로 학교폭력 피해 학생의 90%는 등교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학업 성취도가 감소하 여 학교성적의 저하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8), 불안이나 위축상태에 놓여 자살충동을 느끼는 9) 경우 도 있었다. 위의 조사결과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이 공 통적으로 우울, 불안, 공격적인 행동, 두려움을 보이는 등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우울은 학업성취와 수행능력의 저하, 사회성 결핍, 대인관계 문제, 섭식장애, 자살 등 많은 행동적 문제들과 높은 연관이 있다 10)는 것을 알 수 있다. Olweus(1993)는 중학교 시절 학교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은 일반 성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우울과 부정적 인 자기상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이완정과 정혜진(2010)은 청소년기의 또래폭력에 노출된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우울증, 불안증의 증상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에 청소년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그 이후의 삶에서까지 계속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학교폭력의 피해자인 청소년들이 자신의 감정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일반적으로 말로는 나타내지 못하는 생각이나 경험내용을 일종의 대화 방식으로 풀어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한데, 미술은 모든 아동이 성장하면서 가지게 되는 분노, 두려움과 같은 복잡한 감정에 대처하고 표현하며 명확히 하는 하나의 방법 11)이라는 점에서 효 과적이라 할 수 있다. 즉 미술치료를 통해서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긴장과 불안, 우울을 이완시키고 이를 시각화하여, 억압된 감정을 발산하도록 하고, 아울러 정신적 외상을 이겨내고 회복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학교폭력 피해 대상자에 대한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최외선과 박현미(1999)는 미술치료를 통하여 아동은 자율성과 독립성을 향상시키고 원만한 또래관계를 형성하였다고 보고하였고, 전순영과 김동연(2002)은 미술치료를 통해 아동의 집단괴롭힘의 핵심원인을 알게 되고, 억압된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여 긍정적인 표현과 자기 표현력이 향상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황명자(2004)는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해 등교 거부 아동은 자기에 대한 감정과 자아인식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정서가 안정화되면서 또래들과의 원만한 관계 및 학교 적응이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학생 피해자의 경우, 같은 반 친구들과 다툼이 있은 후 친구들로부터 잦은 언어적.심리적 폭력을 경험하였고, 이 일로 인하여 등교 할 때면 두통과 복통, 불면증을 호소하고, 불안 및 우울을 경험하였으며 계속적인 등교거부 행동이 나타나 심도있는 치료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불안 및 적개심과 같은 억압된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고, 아울러 정신적 외상을 이겨내고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는 미술 치료적 접근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대상자의 우울감소와 등교거부 행동 소거에 효과가 있음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rt therapy for middle school girl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in reducing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and eliminating the school refusal behavior.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8 sessions, each for 50 minutes per session in a week, during the period from May 2 till September 12 in 2014, at the art treatment office of A psychiatry clinic located in S city. The study tools of KSD, a projective test,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were used for preliminary and post tests, and they analyzed the perception instability towards school peer relationship and the changed status of depression levels. In addition, a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drawings and attitude change records for each session were utilized to look into the changes in school refusal behavior and progressions of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ression levels of middle school girl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It was confirmed that art therapy stabilized the emotions of middle school girls, and the depression feelings of the subjects lowered accordingly, with the depression index falling from 35 points(severe depression) to 5 points(non-depressed state), Second, art therapy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eliminating school refusal behavior of middle school girls victimized by violence. Looking at the drawings and attitude changes recorded in each session, absence was reduced from 3 to 0, lateness was reduced from 2 to 1. Besides, In their KSD, the subjects were depicted in the preliminary test as listening to music by themselves, separated from the peers, while they were seen in the post test to head for school stores, laughing arm in arm with friends, indicating positive changes.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the art therapy for the subjects of middle school girl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ves through reducing their depression and improving their school peer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