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경제의 고도성장기인 1960ㆍ70년대 무역항으로서의 부산항의 지위 변동과 그리고 그 변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부산항의 지위 변동을 세관을 통한 수출입 통관실적, 항만을 통한 수출입 물동량, 그리고 외항선의 입출항 규모의 변동을 통해 살펴본다. 세 기준 모두에서 무역항으로서의 부산항은 상대적으로 그 지위가 하락했다. 그렇지만 통관실적과 외항선 기준에서는 1960년대ㆍ1970년대 전기간 동안 한국 최대의 무역항이었으며, 물동량 기준으로 보아도,1970년을 전후한 약간의 시기에 울산에게 수위의 자리를 내어주었지만, 한국 최대의 무역항이었다. 부산항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게 되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첫째, 인접한 공업지대의 발전에 따른 다른 무역항들의 성장. 둘째, 이들 무역항들의 가격 대비 중량이 큰 원자재 수입의 증대. 셋째, 미일편중 무역구조의 약화와 무역 상대국의 다변화. 넷째, 부산지역의 중화학공업의 상대적 저성장과 이에 따른 수출실적의 상대적 저성장. 이러한 저성장 요인들로 인해 부산항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하락하였지만, 이 시기 부산항이 최고의 무역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1970년경 이후 컨테이너 수송이 거의 대부분 부산항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analyse the change in the status of Busan port as a trade port and the causes of that change during the 1960ㆍ70s which is the period of high growth of Korean economy. Especially, the change in the status of Busan port is searched in respects of the export-import declaration record through customs, the export-import cargo volume through the harbors, and the entry-departure magnitude of the ocean ships. In all this three standards, the status of Busan port as a trade port was fallen relatively. Nevertheless, Busan port was the first trade port during all the 1960ㆍ70s in the respects of the declaration record and the entry-departure magnitude of the ocean ships. And though Ulsan port took up the first status in the short time around 1970, Busan port was the greatest port in Korea in the respect of the export-import cargo volume also. The causes through which Busan port fell relatively in the status as a trade port are as follows. Firstly, the growth of the other trade port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ose adjacent industrial zones. Secondly, the increase in the import of the raw materials through those ports. Thirdly, the decline of the trade structure weighted toward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trade partners. Fourthly, the relatively low growth of the heavy chemical industry in Busan district and according to this the relatively low growth of the export record by the exporters in Busan. Though the status of Busan port was fallen relatively by those causes, Busan port had retained the first status as the trade port during the 1960ㆍ70s. The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of this fact was that the container shipping was performed almost the whole through Busan port after the around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