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해군 장병의 스트레스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Str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in Korean Navy Personnel: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설정훈 ( Jeong Hoon Seol ) , 박수현 ( Soo Hyun Park )
UCI I410-ECN-0102-2015-100-00193229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해군 장병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의 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며,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정신건강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이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해군 장병 260명을 대상으로 군내스트레스 척도, 간이 정신건강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군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정신건강 문제, 지각된 사회적 지지 간의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군 스트레스가 정신건강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를 두 가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적응적,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신건강 문제 사이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낸 반면,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SPSS Macro(Preacher, Rucker, & Hayes,2007)를 이용한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결과 군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의 관계를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신건강 문제의 관계가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군 정신건강 증진에서의 시사점,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roug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A total of 246 Korean navy personne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tress Diagnostic Scale for Korean Military Personnel,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Korean vers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K-CERQ),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psychological health proble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health problem was partially mediated by both adaptive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health problem was found, but not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perceived social support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through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of navy personnel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