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정서의 조절은 알코올이나 도박이 중독으로 가는데 중요한 동기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의 조절이 인터넷 게임의 과사용으로 가는 과정(스트레스 → 심리적 불편감 → 인터넷 게임 과사용)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가 인터넷 게임 과사용에 미치는 효과가 심리적 불편감을 통해 매개되는지, 그리고 정서조절 능력이 매개과정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심리적 불편감, 인터넷 게임 과사용,정서조절곤란을 평가하는 자기보고 척도가 포함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들 변인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는 인터넷 게임 과사용에 대해 간접효과만 갖고 있었으나, 정서조절은 간접효과와 함께 직접효과도 갖고 있었고 총효과도 스트레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또한 정서조절은 스트레스가 심리적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는 완충역할을, 심리적 불편감이 인터넷 게임 과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는 촉진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서조절 수준에 따른 조건적 간접효과를 계산한 결과,정서조절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 인터넷 게임 과사용에 대한 스트레스의 간접효과는 가장 낮았으나, 정서조절곤란의 간접효과는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함의와 치료적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on a mechanism explaining internet game addiction (daily stress → psychological distress → internet game addition). For this purpose, K-scale (Korean version of internet addiction scale), D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Korean version of stress scale, and BSI-18 (Brief Symptoms Inventory-18) were administered to 415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Kyungkido Province.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daily stress had only an indirect effect on internet game addiction, but emotion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its total effect on internet game addiction was much larger than the total effect of daily stress. Emotion regulation attenuated the effect of daily stress on psychological distress, but promote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 addition, for individuals with higher emotion regulation, the indirect effect of daily stress was lower, but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was greater.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