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혈당측정 결과의 피드백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
김보형 , 최선정 , 전자영 , 한승진 , 김혜진 , 김대중 , 이관우
UCI I410-ECN-0102-2015-500-001944734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Object: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고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상담을 통해서 자가혈당측정 결과에 대한 주기적인 피드백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Methods: 내분비대사내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들 가운데 자가혈당측정 결과에 대해 피드백을 받지 않은 대조군 36명,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40명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당뇨병 관리방법과 자가혈당 측정방법, 시간, 횟수를 연구시작 전 1회 설명하고 3개월 후 혈당조절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군은 당뇨병 관리방법, 자가혈당 측정방법, 시간, 횟수, 고혈당과 저혈당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대처 방법, 혈당기록 방법, 기록법 작성예시 제시를 연구시작 전 1회 교육하고 1개월 간격으로 3회 상담을 통해 자가혈당측정 결과의 피드백을 제공하고 3개월 후 혈당 조절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Results: 교육방법에 따른 당화혈색소 차이는 실험군 평균 2.05%, 대조군 평균 1.17%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 < 0.05). 기저시점의 당화혈색소 구분에 따른 차이는 당화혈색소가 8.0% 이상인 경우 실험군 2.59%, 대조군 1.6%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 < 0.05). 교육방법에 따른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저밀도지단백은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화혈색소 향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병기간( P < 0.05)과 기저시점 당화혈색소( P < 0.05)이다. 당뇨병 유병기간이 짧고 기저시점의 당화혈색소가 높을수록 당화혈색소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Conclusion: 자가혈당측정 결과에 대한 주기적인 피드백이 혈당조절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피드백을 통한 집중관리는 환자가 자신의 혈당을 인식함으로써 행동을 수정하도록 하고 치료법을 지킴으로 인해 혈당조절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