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1981년부터 2006년 사이에 미국 손해보험사의 SEO 이후 주식 수익률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SEO와 대재해이후 이와 관련하여 발행된 대재해 SEO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손해보험사 SEO의 경우 일반적으로 재무분야에서 잘 알려진 SEO 이후의 장기 수익률 저하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손해보험사 중 SEO를 하는 회사는 하지 않는 회사에 비해 발행 전 수익률이 더 높은 회사와 레버리지가 높은 두 분류로 나타났는데, 앞의 경우는 재무상태가 좋은 회사가 대재해 이후 오는 하드마켓(hard market)에서의 고수익 사업을 위한 추가자본 확충을 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고, 뒤의 경우는 대재해로 인한 어려움 극복을 위해 증자를 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SEO를 하는 상이한 목적은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쉽게 구별할 수 있고, 따라서 이슈이후 장기 수익률 저하현상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정보비대칭이 거의 없다고 하겠다. 이 점이 손보사 대재해 SEO 이후 장기주가수익률저하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원인이라고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returns post seasoned equity offerings (SEO) of property and casualty (PC) insurance companies traded in U.S. between 1981 and 2006. In addition to the return analysis post regular SEO, the unique features of catastrophe-induced SEO are studied in detail. We do not observe significant long term underperformance post SEO compared to the matching firms benchmarks, as is recorded in the finance literature studying SEO across industries. Probit analysis reveals that PC insurers who choose to conduct SEO post major catastrophes display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the firms who choose not to. Insurers with CAT induced SEO tend to intriguingly either have higher leverage level or higher profitability. This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capital raised through SEO is used either to restore capital to survive the financial distress, or on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to expand market share in the profitable hard market following catastrophes. Investors are found to be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motivations behind the decision of catastrophe induced SEO by analyzing firm characteristics as well as stock return performances between the hit of catastrophe events and the SEO date, and use it to assess the value of stocks post SEO according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