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의 시에 나타나는 시간 인식은 객관적인 시간에서 의식 경과의 내재적 시간을 탐색하는 것으로 변모된다. 「처용단장」은 의식 내적인 시간이 잘 드러나는 대표적인 시이다. 「처용단장」의 시간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과거, 현재, 미래의 단절된 한 지점이 아니라 주체에게 시적 순간혹은 사건이 발생하는 의식 내적인 시간이다. 그것은 파지와 지금, 예지로 지칭되는 후설의 현상학적인 시간으로 설명될 수 있다. 현상학적 시간의 측면에서 볼 때, 「처용단장」은 파지와 예지 그리고 그것들이 ``지금``과 결합된 ``살아있는 현재``를 품고 있다. 파지는 시의 화자가 현실적인 계기에 의해 과거 경험을 불러오고 그것이 ``지금``까지도 열려있는 채로 지속되고 있는 경우이다. 트라우마는 원인이 되는 경험이 은폐된 채 남아 있다가 유사한 사건의 발생함에 따라 새로운 사건과 중첩되어 작용한다. 여기서 과거는 완료되거나 현재와 단절된 것이 아니라 단지은폐되어 잠재적인 상태로 지속된다. 따라서 트라우마가 드러나는 시들은 후설의 시간의식 중 ``파지``를 잘 보여주는 예이다. 파지는 회상과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회상에서 기억은 ``지금`` 시점에서 환기되기는 하지만 현재와 무관한 것으로서, 과거 경험에 대한 인상을 바탕으로 하여 재구성된 것이다. 재구성된 기억 또한 과거의 일부로서 환기될 뿐 현재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와 달리 파지는 현실적인 사물이나 대상이 계기가 되어 기억을 촉발시키고 그것이 과거로부터 지속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예지는 기본적으로 파지적 지평을 바탕으로 한다. 과거 경험에서 있었던 대상이 계속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거나, 과거의 만남을 바탕으로 하여 어디선가 만남이 이어지고 있다고 기대하는 것이다. 과거가 현재에 지속되고 있는 파지적 지평과 이에 바탕한 예지적 지평은 ``지금``을 중심으로 하여 삼중으로 겹쳐지면서 각각 전후로 뻗쳐져 있는 셈이다. 후설은 이처럼 파지와 예지가 하나로 통합된 ``지금``을 ``살아있는 현재``라는 표현한 바 있다. 김춘수의 「처용단장」에는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난다. 「처용단장」은 대상을 제거한 이전 단계의 무의미시와는 달리 대상이 지니고 있는 지평적 지향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시간의식의 측면에서 볼때 그것은 지각된 대상의 시간성과 그것을 지각하는 주체의 시간성을 아울러 포함하는 것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Recognition of time in Kim, Choon-soo`s poem is transfigured to find ``implicit time of conscious progression`` through phenomenological thinking. Time of inner consciousness is expressed well in ``Cheoyongdanjang``, poem based on poet`s experience, Basically, time of ``Cheoyongdanjang`` is centering around the present time, but the present time is rather the point of recalling memory than poet or narrator`s existing time. In other words, it is not a point of objectively existing time, but a point of poetic moment of subject or accident-occurring time of inner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notion of phenomenological time ``Jetzt``. In viewpoint of phenomenological time, ``Cheoyongdanjang`` is including `` Lebendige Gegenwart``, combination of ``Retention``, ``Protention``, and ``Jetzt``. `` Retention`` means the case that the narrator recalled the experience because of practical chance and remaining until ``Jetzt``. Poems dealing with trauma are representative examples; trauma shows the case of remaining past experience. The experience is concealed until the occurrence of similar incident, and then activates trauma. Past is not over, or break with the present, but is concealed to be continued in latent state. ``Retention`` is distinct from ``Wierdererinnerung``, the secondary memory of past, because it is connected to ``Jetzt`` by practical chance. Memory is recalled without any relation to ``Jetzt`` in ``Wierdererinnerung``, and it is reconstructed based on impression of past experiences. Reconstructed memory is also recalled as the part of past, disconnected to the present time. Contrastively, ``Retention`` is memory that continued from past and recalled by practical objects. ``Protention`` is possible by ``Retentional Horizont``. In other words, predicting the future is able by reasoning continuing experience of past. Poems anticipating the existence of objects in past experience or hoping relations of the present time from the past relationship. Based on ``Retentional Horizont`` of continuing past through the present, ``Protentional Horizont`` is trebly overlapped, centering around the present time and reaching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Lebendige Gegenwart``, the union of ``Retention``, ``Jetzt``, and ``Protention``, is describing the phenomenological time. Analysis of the phenomenological time is able because ``Cheoyongdanjang`` is the poem of conscious directivity. By reconstructing object after the ``epoche``, ``Cheoyongdanjang`` expresses ``Horizontal Intentionalitat`` of objects, unlike nonsense poetry of the previous step. ``Horizontal Intentionalitat`` includes outer Horizont, the exterior state of the object, and inner Horizont, the subjective meaning connection. In the viewpoint of Time-conciousness, it is understood to include the temporality of both recognized object and recognizing subject. Therefore, to analyze Time-conciousness in ``Cheoyongdanjang`` is a significant bas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Choon-soo`s poem and phenome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