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재만 조선인 시에 나타난 "다른 공간" 문제 연구 -『만주시인집』과 『만선일보』 문예란 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Other Space in Korean Manchuria Poems - focus on Collected poem of Korean Manchurian and Manseon il bo(daily)
김학중 ( Hak Jung Kim )
UCI I410-ECN-0102-2015-800-001996626

이 연구는 재만 조선인 시가 문제화하고 있는 공간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재만 조선인 시는 고향, 방, 무덤의 공간에 다른 공간을 배치함으로써 공간을 문제화한다. 여기서 다른 공간이란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을 바탕으로 드러나는 공간이다. 헤테로토피아는 유토피아에 반하는 개념으로, 실제있는 공간을 바탕으로 공간 내에 다층적으로 배치된 공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기존의 재만 조선인 시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고향, 방 등의 공간을 단일한 공간으로 봐왔다. 그러나 본고는 이 단일한 공간들에 배치된 양립불가능한 공간들이 존재하며 이것이 문제화되는 공간들이라고 보고 있다. 이는 일제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통치적 합리성이 만주라는 공간에 끼친 영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일제는 오족협화와 왕도낙토라는 지배이데올로기를 재현하기 위해 만주를 분할하고 이를 통해 영토화하려고 하였다. 이것은 통치적 합리성을 구축하는 방식이었는데, 이에 따라 일제는 재만 조선인을 농촌 중심으로 이주시켰다. 조선인들이 수전을 바탕으로 하는 농법에 능했고 이를 활용해 만주에서 식량을 증산하기 위해서는 조선인을 만주의 농촌에 할당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일제의 이러한 통치적 합리성은 재만 조선인이 공간을 문제화할 수밖에 없는 지점을 만든다. 고향의 공간이 문제화되는 것은 만주의 농촌과 관련이 있다. 재만 조선인들은 만주의 농촌공간을 고향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려고 하였다. 그것은 일제가 원했던 수전 방식의 경작공간을 만드는 방식이다. 그것은 고향을 재현하면서 동시에 만주의 경작지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고향이란 공간에는 재만 조선인 자신이 거주하는 만주의 농촌이 함께 배치되게 된다. 재만 조선인 시에 나타나는 고향은 고향의 상실과 고향의 향수가 겹쳐 있는 장소가 된 공간이다. 이는 고향을 문제화한다. 이는 고향의 기원적 상실을 가리킨다. 동시에 고향은 이제 귀향 불가능한 장소로 재현된다. 그런데 고향이 귀향 불가능한 장소로 문제화되는 것은 단순히 고향의 기원 상실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더욱 근본적인 문제를 드러나게 한다. 윤리와 진리의 차원을 문제화하기 때문이다. 이는 방과 무덤의 공간에서 더욱 심화되어 나타난다. 방의 공간에서 살펴볼 수 있는 다른 공간은 윤리와 진리의 공간이다. 방은 고립된 공간에 불과하지만 바로 그런 고립성으로 인해 외부 세계가지탱하지 못하는 윤리와 진리를 보존하고 있기도 하다. 문제는 방의 공간이 무덤이란 공간과 서로 겹쳐져 나타나게 된다는 것에 있다. 방과 겹쳐져나타나는 공간인 무덤은 방보다 윤리와 진리의 부재를 더욱 강화하는 공간으로 방 뿐 아니라 늘 고립된 방인 마을의 공간성을 드러내준다. 이러한 겹침으로 인해 방과 무덤 공간은 근대 국가체계 특히 일본의 제국주의가 근본적으로 결여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문제화하는 장소가 된다. 방과무덤 공간이 진리와 윤리의 부재, 더 나아가 진리의 윤리가 죽음의 장소에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줄 때, 일본 제국주의가 윤리와 진리의 부재를 제국의 영광으로 가리고 있음을 환기한다. 이는 일제 지배 이데올로기의 스펙터클인 ``영광``의 허구성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방과 무덤의 공간은 공간을 문제화하는 것을 통해 저항의 공간으로 우리 앞에 나타난다. 이러한 점을 살펴볼 때, 재만 조선인 시에 나타나는 다른 공간이자 헤테로토피아인 고향, 방, 무덤은 새롭게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을 얻는다. 이 장소들은 이미 있는 장소에 근거하면서도 그것에 숨겨진 배치를 문제화하면서 만주에서 일제가 영토화하려고 했던 공간에 저항의 공간을 양립시키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the space of which Korean Manchurian poets problematize in their writings. The poems of the Korean Manchurians tend to pose a problem of space by locating ``different spaces`` in the space of hometown, room and tomb respectively. The ``different space``, which one could define in the same sense of the ``Other space``, arguably manifests its presence as echoing the concept of Heterotopia. The term Heterotopia, contrast to Utopia, helps one understand the spatial significance in the Korean Manchurian poems with an extended view of space, as Heterotopia means the spaces located as multiple within a single space that is based on a real space. The established studies of Korean Manchurian poems have often understand the depiction of spaces, such as the hometown and the room, in the sense of a single space. However, this paper demonstrates a different concept of the space, which exists as multiple yet an incompatible form within the realm of the single space. Indeed, one could argue the theme of the room represented by the Korean Manchurian writers foreshadows the sense of the multiple, when the room is problematized in their poem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tendency can be found by looking through a lens of history, regarding how the Japanese ruling ideology and governing rationality influenced the Manchurians` space in the past. Japanese government intended to territorialize the Manchurian area by dividing it, in order to effectively actualize the dominant ideology called the Five Races Harmony and Royal road of Paradise. This policy was initially introduced as a way to build up Japanese` governing rationality, which later led most of the Korean Manchurian to migrate to the countryside according to the order. As Koreans were highly skilled in agriculture, especially in regard to irrigation, it was necessary for the Japanese government to allocate the Koreans in the rural spaces so that they can benefit by the increased food production in Manchu. In light of this, the governing rationality of Japan provides the valid point of circumstances where the Korean Manchurians mainly concern the space in their writings. This paper focuses on the Korean Manchurian poets` use of hometown as a leitmotif, arguably related to their idea of the rural Manchurian area. They often attempt to construct the rural area of Manchuria by means of re-actualizing the homeland. in other words, they chose the method to build up the cultivating space run by irrigation,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would order to them. By doing so, the space depicted in this way enables the writers to represent their homeland and secure the cultivating land in Manchuria at the same time. Therefore, one could find the signs of the juxtaposition of the rural space of Manchuria and their actual residence in their depiction of homeland. The image of homeland in their writings presents the place where the sense of loss and nostalgia overlaps, which this paper finds problematic in discussing the Korean Manchurian poets. Arguably, the image suggests one`s loss of home from the origin. This means that the homeland in their writings is often represented as a place they can never return. Yet, what this image of homeland implies is not just the impossibility of return, or the loss of origin. The motif also tends to raise an issue that lies at a more essential level, emerging in a more scrutinized way. Because this motif problematize ethics and truth. One could find the signs in the space of the room and grave. The other spatial significance arguably found in the space of the room is that of the ethics and truth. Despite its solitary sense in terms of the spatial occupation, it is the very nature of the room, as the solitary, that possibly preserves the interior values of the world that the exterior world can hardly underpin. What should be pointed out about the image of the room is its overlapping manifestation with the image of the grave. The grave, a space that strengthens the sense of lack of the ethics and truth, shows the spatiality of not only the room itself but also the town as a place of permanent solitary. By reading the Korean Manchurian`s sketch of the room alongside the image of grave, one could pose an issue on what the modern state system, particularly Japanese Imperialism, essentially lacks in their governing. The point where the space of the room and grave is located in the space of death, as this paper will discuss in the end, suggests how the lack of the ethics and truth in the body of Japanese Imperialism is obscured by the Imperialist myth of the glorious prosperity. Whilst the void nature of the ``glory`` underlying the spectacles of Japanese ruling ideology is revealed by the Korean Manchurian`s poems, what the representation of the room and grave resonates to the reader is arguably the space of resistance. The poets` literary use of the room succeeds to hold the resistant significance by problematizing the space. Therefore, this paper provides a new way of reading the poems of the Korean Manchurians, in terms of the motif of the homeland, the room and the grave as The Other space and Heterotopia. Key here is that these spaces are based in an already established area, yet still problematize and allow one to look within the arrangement of the multilayered spaces, manipulated by Japanese government. The space of resistance created in the Korean Manchurian poems actively contends with the space where the Japanese once attempted to occupy Manchuria.

1. 시작하며
2. 다른 공간의 원리와 만주
3. 고향의 다른 공간
4. 방과 무덤의 다른 공간
5. 마치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