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6.147.121
18.216.147.121
close menu
}
KCI 등재
백석의 유기적 시세계와 불교생태학적 의의
Baek Suk`s Organic Poetry and the Significance of Buddhistic Ecology
김지연 ( Ji Yeon Kim )
인문논총 35권 235-256(22pages)
UCI I410-ECN-0102-2015-000-001999052

본고는 백석의 유기적 시세계에 대하여 불교생태학적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석 시에 그려지는 유기적 공동체의 관계성은 근본적으로 무아와 공성에 대한 깨달음을 내포한다. 연기적 존재의 공동체 구성원들은 공성이라는 자각을 통하여 자아에 대한 아상이나 여기서 비롯된 욕망을 내려놓음으로써, 이기적 자아가 아닌 관계적 자아로서 자유롭게 상호 교감하고 있다. 둘째, 백석 시에 드러나는 모든 존재는 평등하며 부분이자 전체로서 공동체를 구성하는 능동적인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같이 차별과 위계가 없는 공동체에서는 상호 간에 서로 존중하는 태도가 자연스럽게 생성된다. 셋째, 백석 시에는 나와 상대를 동일시하는 동체 인식이 잘 드러난다. 그리고 이 동체 인식은 삼라만상에 대한 자비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동체대비 사유를 근간으로 하여 백석의 시에는 살림 과 배려 의 공동체 윤리가 구현되고 있다.

This study is about poetic works of Baek suk based on Buddhistic ecology. We could find his organic theory of poetry as follows. Firstly, relationships of organic community in Baek suk s poetry basically comes from understanding of self-effacement and its reality. Ego, a dependent member of community, mutually interacts with each other as a relational self when it is aware of reality away from a condescending attitude and desire. Secondly, in Baek suk s poetry every single creature is equally valuable as a whole and they are active as a member of community as well.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moral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develops in this community instead of discrimination or a grade of rank. Finally, it is common that one easily identifies oneself with the other in Baek suk s poetry. This identification leads to compassion toward the whole universe. This concept of universal compassion realizes community ethics in his poetic works.

1. 머리말
2. 존재의 공성과 교감
3. 공동체의 유기적 평등관
4. 동체 인식과 상생의 윤리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