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26.77
3.144.26.77
close menu
}
조건부 자본증권의 법적쟁점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
The Legal Issues on the Issuance and Investment of Contingent Convertible Bonds in Korea
김수연 ( Su Yeon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2002188

조건부 자본증권이란 보통 부채의 형태로 발행되었다가 비상시에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이 예정되어 있는 규제 자본을 의미한다. 대개 은행에 의해 발행되는 조건부 자본증권은 위기 시 내부자금 투입을 통해 자동적으로 자본재확충이 이루어지므로 손실부담형 채권으로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2013년 5월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하여 조건부 자본증권을 도입하였다. 단순히 은행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 기업에게도 발행을 허용하였는바, 바젤 Ⅲ에 따라 금융기관의 자본 확충수단으로 발행하여야 하는 조건부 자본증권의 개념보다 확장된 의미로 볼 수있다. 일반 상장회사가 조건부 자본증권을 발행할 실익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보통주 외 우선주로의 전환, 해당 기업경영 정보의 투명한 공개, 객관적인 신용평가시스템 마련 및 발행 기업의 임원보수 지급수단으로 활용 등 자본조달 측면에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은행이 발행하는 조건부 자본증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은행법, 금융지주회사법 상전환형 발행의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우량한 대형 은행이 선도적으로 발행하여 전략적으로 투자자의 접근성을 제고하며, ‘금융 감독 보신주의’에서 벗어나 시장의 자율성을 전제로 합리적으로 조정.규율하는 금융당국의 규제태도 변화가 요청된다.

In May 2013 Revised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newly introduced the Contingent Capital bonds also known as CoCos. . Basel III that releas ed by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on December 16, 2010 has resulted in establishing Article 165-11 in CMFIBA concerning CoCos. They are instruments tha t are either written off or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common equity upon the occu rrence of certain “trigger events”. These instruments have developed, in part, as a potential remedy to a perceived problem of the recent financial crisis, during which the infusion of public sector capital necessary to protect distressed banking institutio ns’ depositors prevented, in many cases, certain regulatory capital instruments from suffering losses that would have otherwise occurred in bankruptcy or receivership. This paper reviews the economic rationale and the operational aspects of CoCos. The most natural issuers of CoCos are assumed to be banks, but this paper generally examines various legal features of CoCos - the evolution of the issuance, merit, legal nature, structures, pricing, trigger events and the credible threat of losses due to con version and dilution including corporate-issued as financing instruments. Also This paper analyses the vulnerabilities of CoCos regulation system in Korea and proposes the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CoCo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