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내부고발자보호제도에 관한 입법정책적 고찰
The Consideration of Legislative Policy on Whistleblower Protection
이흔재 ( Heun Jae Lee )
연세법학 vol. 22 167-196(30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009985

현대사회에서 조직내부에서 은밀하게 발생하는 부패행위를 외부에서 발견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이유는 공공부문이나 민간부문에 존재하는 조직이 거대화, 복잡 화되고 있고, 조직내부의 이익논리로 방어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조직내부의 부패 행위에 대하여는 내부사정을 잘 알고 있는 내부인이 외부에 알릴 때 가장 효과적으로 조직내부의 부패행위를 통제 규율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내부 고발자에 대한 연구는 조직내부에서 공익을 위하여 부정행위를 신고하는 내부고발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제도를 강화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본고는 먼저 국내 입법에 영향을 미친 외국의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에 대하여 자세 히 검토하고 평가해 보았다. 그리고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인 ‘공익신고자 보호법’과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논의된 주요 쟁점은 첫째, 공익신고자에 대하여 조직내에서 인사상 보복을 하였을 때 국민권익위원회의 보호조치는 사실상 무력하다는 점 둘째, 보상금 제도의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점 셋째, 공익신고자에 대한 책임감면규정의 문제점 넷째, 내부고발자 보호제도를 기업범죄로 확대 · 적용할 것인 지에 대한 문제이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내부고발제도는 그 특성상 성 공적으로 정착하기 어려운 이유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입법적으로 내부고발자 보호를 확대 · 강화하고, 내부고발을 활성화시킬 유인요소를 도입한다면 내부고발이 공익의 수호자로서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

In modern society, it is not easy to detect an internal corruption of the organization from outside. The reason is that the complexity and large scale of the organization in the public sector or the private sector and self-defence of the organization``s internal logic for its interests. Consequently when insiders who know well about acts of corruption within the organization, notify external, i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ontrol the organization``s internal corruption. In this regard, the study of the whistleblower has been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system of whistleblower protection for the public interest. This paper generally reviews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in foreign states, influences on the national legislation, then analyses by comparing ``Act on the Protection of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s`` and ``Act on anti-corrup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ACRC)`` which is representative Whistleblower Protection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South Korea. In the process of research I study following issues: 1) ACRC does not provide a effective means to force the public organizations and private corporation to comply with the request for whistleblower protection 2) the term ``public official``s corrupt act`` defined in this provision is too narrow and limited; 3) the need to realization of the compensation system; 4) the immunity of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5) the expandable application to corporate crime in the private sector; that each issue has been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Whistleblower system can be difficult to settle successfully by its nature. However, if it has been expanded and strengthened by legislation, enhanced incentives could increase the whistleblower and it would play a big role as the guardians of the public interes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