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두되고 있는 콜라보레이션은 개성을 중시하는 21세기 시대를 대변해주고 있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콜라보레이션이 최근에 많이 대두되고 사용되어지는 이유는 좀 더 새로운 것,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 창의적인 것을 중시하고 대중들에게 쉽게 어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콜라보레이션은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연예술에서 대중문화적 요구가 증대되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면 무용 공연은 아직 일반 관객들에게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대중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공연의 관객 확보 및 새로운 발전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공연 형식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특히 국립무용단의 단, 묵향, 회오리, 토너먼트는 기존의 한국무용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형식을 받아들인 콜라보레이션 공연을 통해 관객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였다. 일반 관객들이 가지고 있던 한국 춤의 편견을 깨뜨리며, 동시대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무용공연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다. 추후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무용공연이 관객 마케팅과 홍보, 작품의 질적 수준 향상 및 새로운 공연 장르를 개발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word ``collaboration`` had been recently come to the fore as it represented 21st century which valued individual``s character. The reason why collaboration had been used frequently was that it easily appealed to public as it is new, approachable and values creativity. Collaboration had been settled down as one genre throughout cultural art area. In Korea, performing art was developing rapidly due to the increase in desires for pop culture while dance performance was facing difficulties in attracting public``s attentions due to the lack of popular appeal.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performance type through collaboration, which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s a part of the method for securing audience of dance performance and new development. Particularly, Dan, Mukhyang, Hoiori and Tournament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 had exerted efforts to secure large number of audience through collaboration performance by accepting new format and going beyond typical format. It opened a possibility of dance performance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of same period by breaking the prejudice in Korean dance against which general audience had. The researcher expected that dance performance could develop audience marketing, public relations, improvement of qualitative level of work, and development of new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hencef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