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플러스대우표현의 마이너스대우화」에 있어서의 발화의도와 인간관계의 양상을 분석·고찰하였다. 시나리오집의 담화를 분석한 결과, 「비아냥」「냉담」「놀림」「비난」의 네 가지 발화기능을 볼 수 있었고, 그에 상응하지 않은 「플러스대우표현」을 사용하여 「마이너스대우」를 하고 있었다. 인간관계는 <상→하> <동→동> <하→상>이 있었고, <동→동> 의 인간관계를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다. <상→하>의 인간관계는 부모자식, 상사와 부하의 관계가 가장 많이 보였으며, <동→동>의 인간관계는 친구, 동료가 가장 많이 보였다. 이 두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플러스대우표현의 마이너스대우화」에 의해 발화효과를 높여 자신의 발화의도를 강조하는 예가 대부분이었다. <하→상>의 인간관계는 자식과 부모관계가 대부분으로, 「플러스대우표현의 마이너스대우화」에 의해, 「마이너스대우」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처럼 표현하여 자신의 발화의도를 상대에게 확실히 나타내지 않으려고 하는 예를 많이 볼 수 있었다. 이들 인간관계 중「플러스대우표현의 마이너스대우화」를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것은 <동→동>의 인간관계였다. <상→하>의 인간관계의 경우에는 「마이너스대우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그다지 저항감이 없기 때문에, 굳이 「플러스대우표현」을 사용하여 「마이너스대우화」를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한, <하→상>의 인간관계의 경우에는 아무리 「플러스대우표현」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상레벨>의 사람에게「마이너스대우」를 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하>와 <하→상> 이 두 인간관계에서는 「플러스대우표현의 마이너스대우화」가 많이 보이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같은 「플러스대우표현의 마이너스대우화」임에도 불구하고 인간관계에 따라, 그 사용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This paper analyses and examines the aspects of human relationships and articulation functions in terms of ``negativizing of the expression of positive treatment.`` Through analysing the conversations from the scenario collection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articulation functions - sarcasm, apathy, teasing, and criticism - and ``expressions of positive treatment`` uncorrelated to the purpose were used to deliver negative treatment. In regards to human relationships within these conversations, upper to lower, equal to equal, and lower to lower types of relationships were seen, with equal to equal human relationships being the majority of the observation. The upper to lower human relationships were mainly consisted of parent and child or superior to subordinate relationships while equal to equal relationships were generally between friends or coworkers. In regards to these two types of relationships , ``negativizing of the expression of positive treatment`` was used to magnify the perlocutionary effect in order to emphasise the speaker`s articulation functions in most of the examples. The lower to upper types of relationships were predominantly of child to parent relationships that through the use of ``negativizing of the expression of positive expressions,`` the speakers expressed themselves in a way that their intention of negative treatment were not noticeably felt by the liste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