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조선후기 과학과 실학에 미친 도가철학의 영향 -이익의 서양과학 수용과 도가적 이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aoism Philosophy on Science and Silhak of Late Period in Joseon Dynasty - Focusing on Yi-Ik`s Acceptance and Taoistic comprehension of Western Science -
이진경 ( Jin Kyung Lee )
동서철학연구 vol. 75 79-114(36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2023645

조선후기 일군의 학자들은 도가철학을 인식의 틀로 활용하여 서양과학을 수용하고 이해하였다. 사실 도가의 기철학은 동양의 전통 과학과 천문학이 형성ㆍ발전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원류로 기능하여 왔으며, 서양과학 수용과정에서 서양과학에 상응하는 학문으로 인식되었다. 대표적으로 조선후기 이익의 우주론과 서명응의 선천역학, 홍대용의 과학적 세계관은 도가의 기철학을 인식 기반으로 자연 세계에 대한 인식 전환을 시도한 사례들이다. 그리고 자연에 대한 이들의 인식 전환은 현실질서의 변화에 대한 요구로 이어졌다. 특히 성리학적 도덕원리와 도가의 기철학이 절충된 형태인 이익의 우주론에서 서양의 천문과학은 기철학의 주요 개념에 대응하여 설명되어졌다. 이와 같은 이익의 우주론은 과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 정치의 측면에도 영향을 미쳤다. 즉 그는 중화의 위상을 보편적인 것으로 인정하면서도, 조선의 상대주의적 주체성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정치에서는 객관적 황로정치의 도입을 주장하는 법치주의적 정치사상을 논의하였다. 도가철학은 서양과학을 이해하는 해석의 틀로서만 기능한 것이 아니라 실학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도가 기철학은 탈이념적이고 실증적인 사유에, 인식 상대주의는 탈중화주의와 주체성의 자각에 기여하였다. 홍대용과 북학파의 실학은 이러한 도가철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이다.

The prominent scholars of the late period in Joseon Dynasty used Taoism philosophy as the frame of perception to understand and embrace western science. In fact, the Qi philosophy of Taoist was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oriental science and astronomy. Yi Ik, Seo Myeong Eung, and Hong Dae Yong were the scholars who perceived that Taoism philosophy corresponded with western science. Yi Ik`s Cosmology, Seo Myeong Eung`s Sun-Chun-Yeok-Hak, and Hong Dae Yong`s scientific view of the world showed the transition of the perception of the world and scientific thoughts based on the concept of Taoism philosophy. Especially, Yi Ik explained and understood the western astronomy by corresponding it to the concepts of Lao-tzu and Chuang-tzu`s Qi philosophy and cosmology. Also, scientific cosmos and Taoism philosophy influenced a change in direction to escape from Sino-centrism. Although Yi Ik admitted the universal status of China, he asserted the relative independence of Joseon. In politics, he also discussed the political thought based on constitutionalism that asked for introduction of objective Huang-Lao Philosophy. As illustrated above, Taoism philosophy not only functioned as a framework for interpretation to understand western science, but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ilhak. Hong Dae Yong and Bukhak School`s Silhak were influenced the most by this Taoism philosophy.

1. 문제의식과 과제
2. 조선후기 서양과학 수용의 사상적 배경
3. 이익의 서양과학 수용과 도가적 이해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