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쓰기는 EFL 학습자들이 가장 부족한 기능이므로 이들의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글을 쓰면서 범하게 되는 오류에 대해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에 따라 자신들의 오류를 수정하는 활동이 그들의 영어 쓰기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이들의 영어 쓰기 능력이 어떻게 향상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고, 실험 동안 4번의 쓰기(기술체 2번과 이야기체 2번)를 실시하여 그 결과물에 대해 교사가 과정-중심 접근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피드백을 근거로 자신의 글을 수정하게 했다. 이때 교사는 오류 수정 기호를 학생들에게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양적.질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가 범한 오류에 대해 교사가 제공한 피드백을 기초로 학습자가 스스로 오류를 수정한 결과, 20명 중 14명의 쓰기 점수가 향상되었다. 이는 별도의 쓰기 교육 없이 쓰기 활동만으로도 쓰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4번의 쓰기 과업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글을 써나감에 따라 그들이 범하는 오류의 수가 줄어들었다. 이는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이 학습자의 오류 수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English teachers should real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as an integrative skill which needs to be encourage in the classroom setting. Since writing is widely considered the area in which EFL learners lack most, more research is nee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ir English writing proficienc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s`` feedback on high school students`` errors they committed while writing on their English writing performance. The data for this experiment was gathered from 20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y were also asked to take pre- and post-test with the same topic to find out how their writing performance would be improved by the four times of writing practices. Next, the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write 4 essays (2 descriptive and 2 narrative writing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s. They were given a handout of the teacher``s correction marks and asked to make corrections on their writing based on the marks. When evaluating the r writing products, errors were counted from every 2nd draft. And the data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by exploring their errors in their writing samp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feedback helped the participants to correct their errors and then to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Specifically, 14 out of the 20 students got higher marks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And the number of errors they committed while writing decreased throughout the treatment. In general, the quality of the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what kind of teacher feedback would be more beneficial, and what other linguistic areas can be improved by teacher feedback and the learners`` error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