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길림대학 조선어(한국어)과 한국어회화교육의 실제 -실용회화교육을 중심으로-
The practice of Korean conversation education at a Chosun language (Korean) department of Jilin University
김지훈 ( Ji Hun Kim )
한민족어문학 vol. 69 429-446(18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31882

이 논문은 2012년 7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중국 길림성 장춘시에 소재한 길림대학 조선어(한국어)과에서 진행된 실제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회화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시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는 2012년 중국한국(조선)어교육학회에서 발행한 『중국대학 한국어교육실태』에서 공통적으로 지목하고 있는 교수자와 교재의 문제점과 더불어 국내에서 한국어교육과정을 마친 학생들의 본과 진학 및 취업 시 겪게 되는 문제점에 주목했다. 전자와 후자 모두 경제적 여건과 제약으로 발생된 공통적 문제점을 지니고 있지만 본고는 경제적 상황이나 교육시스템적 문제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개선 가능한 교재의 활용과 교수자의 교수법에 주목하여 논지를 전개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본론에서는 수요자 즉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실용회화교수법을 실제 길림대학 조선어(한국어)과에서 진행된 시안을 통해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매 교재마다 빠지지 않으면서 학생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주제 중 하나인 자기소개를 예를 들었다. 결론에서는 앞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회화교육에서 중요한 점은 말하기와 듣기의 중심에 ``나``라는 주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실천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thesis is based on an actual education experience that was processed at the Chosun language (Korean) department of Jilin University located in Cangchun city, Jilin providence from July 2012 to July 2013 and the purpose is to look into the issues of Korean conversation education for local and foreigners and to present a plan for it. In the introduction, it focused on the issues of the teachers and textbooks that were commonly stated in the 『China University Korean education status』 issued from the 2012 China Korea(Chosun) language education committee along with the issues of the students`` advance in actual studies and getting jobs after they finish their Korean education program. Although the former and latter has its common issues in economical terms and limits, this thesis focused more on the utilization of the textbook that can be improved at the filed and the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 rather than the economic status or educational system issues. Based on such points, the main subject presented the actual draft of a real conversation teaching method that is needed by consumers (students) that was processed at the actual Chosun(Korean) department at Jilin university. In details, it took an example of a self-introduction among the themes that are needed by students and is always included in textbooks. In the conclusion, it stated that the important points in Korean conversation education for foreigners is to acknowledge there is a ``me`` in the center of speaking and listening and looked deeply into the continuous research plans.

Ⅰ. 서론
Ⅱ.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회화교육의 실제
Ⅲ.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