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새로운 이해
A New Understanding of the Hearer-oriented Honorific System in School Grammar
임지룡 ( Ji Ryong Lim )
한민족어문학 69권 359-398(40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31862

이 글은 현행 학교문법의 교과서 7종류에 기술된 ``상대 높임법``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에 대해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우선, 학교문법에서 ``상대 높임법``은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표현하는 높임법으로 종결어미에 의해 높낮이의 정도가 표현되며, ``격식체``의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하십시오체``와 ``비격식체``의 ``해체, 해요체``로 분류하였다. 이에 대한 6가지 문제점과 대안적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 높임법``이라는 용어 아래 ``낮춤``이나 ``반말``을 포함시키는 것은 모순이며, ``하십시오체``와 같은 명령형의 등급 명칭은 ``높임``과 조화되지 않으며 변별력이 약하다. 이에 대해 ``청자대우법``이라는 용어가 적합하며, 등급 명칭의 기준으로 ``합니까?``와 같은 의문형이 적합하다. 둘째, ``높임``과 ``낮춤``에 따른 등급 구분에서 ``낮춤``은 문법적 표지로 드러나지 않고 청자 대우의 정신에 어긋난다. 이에 대해 화계의 틀을 어말어미에 따라 1, 2, 3단계로 나누는것이 적절하다. 셋째, ``격식체`` ``비격식체``의 2원 체계는 그 경계가 모호하고 현실성이 없으며, ``격식체`` 우월적인 등급 구분이므로 부적절하다. 이에 대해 어말어미와 선어말어미 ``-시-``, 그리고 동급 종결표현을 고려한 대안적 화계 설정이 필요하다. 넷째, 높임법의 등급에서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2원적 체계 아래 ``높임``과 ``낮춤``에 의한 종결어미 체계에 심각한 오류가 발견된다. 이에 대해 상대 높임법의 화계는 어말어미에 의해 틀을 형성하는 ``무표형 화계``와 선어말어미 ``-시-``에 의해 대우 의식을 정밀화하는 유표형 화계의 2원 체계로 설정된다. 이 경우 1단계의 ``가니/가``, 3단계 무표형의 ``갑니까/가오/가요``, 3단계 유표형의 ``가십니까/가시오/가세요/가셔요``는 각각 동급 종결 표현 또는 이형태이며, 2단계의 ``가는가/가시는가``와 3단계의 ``가오/가시오``가 약화됨으로써 상대 높임법의 화계는 1단계와 3단계로 단순화되고 있다. 다섯째, ``압존법``을 주체 높임법에서 다룬 경우가 있으며, 그 인정 여부가 교과서마다 다르게 기술되어 있다. 이에 대해 학교문법에서 압존법은 상대 높임법의 일환으로 학습자의 언어 현실과 미래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 내용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형태소 중심의 문법론적 분석 틀에 의존한 ``상대 높임법``은 체계상의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상대 높임법에 대한 바른 인식을 위해 담화 화용론적 시각 및 인지언어학적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며, 상대 높임법이 사회 문화적 요인에 따라 변화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lternative to the hearer-oriented honorific system used in seven school grammar books. This system functions to raise or lower the hearer in relation to the speaker, the degree of elevation being expressed by closing endings. It is classified in formal styles such as ``haera, hake, hao, hasipsio`` and informal styles like ``hae, haeyo``. Six problems with this classification, along with alternative interpretations are explored as follows: First, it is contradictory for ``lowering`` or ``words lacking in respect`` to appear in an honorific system. The imperative style of ``hasipsio``, for example, is not harmonious with ``raising`` and is weak in discrimination. Therefore, the term ``hearer-oriented honorific system`` is unsuitable, and an interrogative form like ``hapnigga?`` is more appropraite for the notion concerned. Second, ``lowering`` does not appear as a grammatical marker in the level classification afforded to ``raising`` and ``lowering``, and it is not congruous with the raising of the hearer. It is more appropriate to classify the frame of speech level with three levels according to final endings. Third, the binary system of formal and informal styles is fuzzy and inconsist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lternative speech level based on final endings, the pre-final ending ``-si-``, and the same level closing expressions. Fourth, serious errors appear in the system of closing endings that ``raise`` and ``lower`` under the binary system of formal and informal styles in the honorific system. It is therefore proposed that the speech level of the heareroriented honorific system should consist of the ``unmarked speech level``, whose frame is formed by final endings, and the ``marked speech level``, that sophisticates honorific thinking by the pre-final ending ``-si-``. From this perspective, ``kani/ka`` in the first level, the unmarked forms ``kapnika/kao/ kayo`` in the third level, and the marked forms ``kasimnika/kasio/kasyeyo/ kasyeoyo`` in the third level, are closing expressions or hetero-forms of the same level. ``Kaneunka/kasineunka`` in the second level and ``kao/kasio`` in the third level become weak, so the hearer-oriented system is simplified at the first and third levels. Fifth, the ``lowered honorific system`` is often dealt with in the speakeroriented honorific system, and whether accepted or not, is described differently. Thus, the ``lowered honorific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as part of the hearer-oriented honorific system in order to accommodate the learner`s realities of language use. Lastly, the morpheme-centered analytic frame of the hearer-oriented honorific system has limits. Therefore, an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urse pragma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hearer-oriented honorific system, and a new way of thinking according to socio-cultural factors is needed.

Ⅰ. 들머리
Ⅱ.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내용
Ⅲ.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문제점과 대안적 해석
Ⅳ.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