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군부정권의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저항의 중심세력이었던 80년대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대학의 학생문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당시 대학에서 학생들은 ``운동권``의 문화를 통하여 사회화될 정도로 그 영향력은 지배적이었다. 지배권력의 억압과 비민주성, 특히 80년 광주항쟁은 모순적 현실에 대한 학생들의 정서적 충격과 인식론적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이들은 비합법적인 소그룹 조직과 대중조직으로서 학회를 통하여 사회비판적 지식을 학습하였으며, 집회와 시위, 대동제 등에서 대안적 문화를 생산, 실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지식과 문화를 생산하고자 했던 학습경험은 제도화된 영역과 다른 그들만의 언어와 지식, 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이었다. 이런 점에서 80년대 대학의 저항적 학생문화에 대한 논의는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재구성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production of critical knowledge and practices of alternative culture in 1980s universities. The student movement had been the main point of the strong social movement and the resistance against authoritarian/dictatorial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argument and struggle of the 1980s student movement had influenced on student culture of university. The oppression of dominant power and especially Gwangiu struggle against undemocratic control of government served emotional shock and epistemological turn of university student. The students had learned critical knowledge of political and social regime through underground small-group and open organization for mass student. Also, they had intended to product alternative culture against foreign and capitalism culture through practices of assembly, demonstration and festival, so called Daedong-je. Their attempts to production of critical knowledge and the practices of alternative culture oriented different language, different knowledge and different culture from the dominant power. The history of resistance culture in 1980s universities serves significations to the present youth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