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악장의 본령은 "공덕을 송축하는 것"에 있다. 악장의 주 내용인 공덕은 이미 수행된 행적 중에서 공로로 인정할 만한 것을 평가하는 과정을 거쳐 구성된다. 공로를 평가하는 객관성은 <문덕곡>처럼 그 내용이 실록에 기재된 기사와 일치하는 것으로도 증명할 수 있고, 세종 무렵부터 당대의 일은 가영(歌詠)하지 않는 관례를 확립한 것을 통해서도 방증할 수 있다. 둘째 유교를 국시로 하는 국가의 전례음악으로 사용된 악장에서 칭송하는 공덕이란 임금에게 주어진 권력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임금이 성군(聖君)의 자질을 현실 정치에서 얼마나 구현하였는가 하는 데에 있는 것으로 현저하게 도덕적인 성향을 드러낸다. 왕조초기에 국가를 창업한 공이 칭송되는 것은 전 왕조의 문란한 정치에서 신음하는 백성을 구한 공, 곧 왕이 가진 생생지리(生生之理)인 인(仁)의 마음을 구현한 도덕성을 평가한 것이다. 악장에서 칭송하는 이러한 공덕성은 평가와 합의를 거쳐 도출되며, 어느 정도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었다. 또한 공덕성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수 있기 때문에 한 번 제작된 악장이라도 그 평가의 변화에 따라 악부에서 삭제되어 사용되지 않을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기존의 연구에서 악장에 드리운 아유문학이라는 부정적 평가를 탈피하기 위해 악장이 가진 권계성을 부각시키고, 해석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강조한 "악장은 사실에 대한 진술이라기보다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적 세계를 노래한 것"이라는 논점과 대비되는 지점이다.
First, the proper function of ``agjang`` is to "commend for good deeds." "Good deeds," the main content of the ``agjang`` is made through a process of evaluation on achievements that could be meritorious among already accomplished work in the past. Objectivity in evaluating the merits could be done by proving whether or not the content of articles matches, as it was done in "mundeokgok," or it could be don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ng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gayoung (歌詠) was not usually performed from around the Great King Sejong. "Good deeds," virtues praised in ``agjang`` that was used for national liturgical music where Confucianism was a national policy, reveals its significantly strong moral inclination since it does not depend on the political power but on how much the implementation of the qualities as a good and wise king would be successful. Praised "good deeds" as part of founding a nation are as equivalent to evaluating the morality of benevolence realization through sangsang-geeri (生生之理) that saved suffering people from disorderly politics of previous reign. There was a system established these ``good deeds,`` virtues derived through evaluation and agreement were able to maintain some degree of objectivity. Also, because the evaluation on the merits could vary depending on the era, any ``agjang`` already composed and produced could be removed from the main score according to any change in the assessment. These discussions are quite contrasted with previous studies in two points. First, it broke the convention of negative evaluations that ``agjang`` was literature merely flattering. Second, since ``agjang`` had strengths of exhortation, it could be musical work that could tell what to do in the future to broaden the extent of its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