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3.90.194
3.133.90.194
close menu
}
채만식 작품의 <심청전> 수용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ception of aspects of in works of Chae Man-sik
이미영 ( Mi Young Lee )
한국어와 문화 15권 3-43(41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2033272

<심청전>은 ``심청``을 주인공으로 하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판소리 <심청가>의 경우 ``심봉사``가 보이는 행위의 골계적 요소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심청전>의 후반부가 낭만적 해결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결말로 나아가는 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청전의 주된 정조는 비극성이다. 아비를 위해 팔려가 죽음을 앞둔 심청의 슬픔과 딸을 팔아먹은 죄를 지은 아비로서의 심봉사의 죄책감이 골계적 요소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작품의 주된 비극적 분위기를 환기하는 까닭이다. 어려서부터 고전 소설의 영향력 아래에서 성장한 채만식은 창작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고전에 눈을 돌렸고, 고전에 대한 치열한 탐색을 바탕으로 작품 창작을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 중 그가 애착을 갖고 다양한 작품으로 변용한 고전 작품이 바로 <심청전>이다. 그는 <심청전>을 변용한 자신의 작품에서 낭만적 해결이 이루어지는 후반부의 상승구조를 제거하여 작품의 비극성을 극대화하였다. 그리고 ``심청``에게서 ``팔려간 딸``의 이미지를, 그리고 ``심봉사``에게서 ``딸 팔아먹은 아비``이미지를 차용해, 그의 작품 속 주인공들로 형상화했다. 이렇듯 채만식은 집요하게 ``팔려간 딸``과 ``딸 팔아먹은 아비``의 이미지를 지닌 인물을 형상화하였고, <심청전>의 낭만적 해결의 요소를 제거하여 일제 강점기 몰락하는 이들의 삶을 형상화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노력의 정점에 채만식의 소설 <탁류>가 있다.

is a story about a main character, Simcheong.But in Pansori version of , humor in behaviors of ``Sim-bongsa`` takes most part of the story. The reason to thi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later part of progresses to a positive ending through fantastic solution process. But despite all that, tragedy is the main theme of the story. It is because the sadness of Simcheong who faces death after selling herself for her father and the guilt of Sim-bongsa as a father who committed the sin of selling his daughter are allocated between humor, arousing readers sense of tragedy,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e story. Chae Man-sik, who was raised under the influence of classic novels from youth, seems to have focused on the classics to find answers to his concerns about writing and found a new way for his works, based on thorough analysis on the classics. The classic work that he affectionately transfigured into various works is . He maximized the tragedy of story by eliminating upturn of the later part where the fantastic ending takes place in his works that are transfigured from . Also, he applied image of ``sold daughter`` from Simcheong and ``father who sold his daughter`` from Sim-bongsa to the characters in his works. Likewise, Chae Man-sik embodied characters with images of ``sold daughter`` and ``father who sold his daughter`` and lives of those who crumbled to the ground in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ing by removing fantastic ending. There lies , the masterpiece by Chae Man-sik at the climax of this endeavo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