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뉴미디어``가 있었다. 한때 ``신문``도 뉴미디어였고, 심지어 ``봉화``도 뉴미디어였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뉴미디어``라는 어휘는 디지털 전자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를 지칭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뉴미디어는 몇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멀티미디어적 속성이다. 요즘의 뉴미디어들은 각각의 영역이 명확하지 않고 혼성되어 있는 성격을 띤다. 과거의 신문이나 방송도 기존의 매체들이 혼성된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지금의 뉴미디어들은 더욱 더 복합적인 미디어 환경 속에서 등장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그 어떤 미디어도 일방적으로 지배하거나 점령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두 번째는 미디어의 재매개 과정에서의 ``투명화`` 속성이다. 뉴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의 콘텐츠를 재매개하는 방식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미디어 자체를 투명화하는 방식으로 미디어의 역할은 오히려 강화되었다. 근래 가상현실이나 가상세계에 대한 시도는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세 번째는 상호텍스트적 속성이다. 서사 텍스트들은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어 활용되며 소통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뉴미디어 시대에 과거의 ``문학`` 개념은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책``이라는 매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문학적 성찰과 예술적 감수성을 교육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서사 교육의 방법도 제시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시대의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그 대안으로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always been New Media. The newspaper was a new media, even beacon fire was a new media. However the word ``New Media`` in these days generally means media based on digital and electronic technology. New Media has several attributes. First, they are Multi-Media. New media nowadays look hybrid and don``t have clear borders. It``s same the newspaper and broadcast come on the scene in the shape of mixture of existing media. But the circumstances are much complicated and the appearance and exit are much more rapid. This is the era no media can be fully dominant or occupy. Second, they are ``transparent`` in re-mediation process. New media has been developed by re-mediating existing media. The role of media has been reinforced to make transparent media itself. The trials for virtual reality or virtual world are good examples. Third, they have intertextuality. Narrative texts are changed in various media, utilized and communicated manifoldly. All these aspects require to reestablish the past concept of ``Literature`` in new media era. Also new educational method in narrative education is needed not to depend on only books for literary inquiry and artistic sensitivity. Media literacy education is worthy to notice to reinforce understanding for new media in new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