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2014학년도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생활연구
오은정 , 김민선 , 정소라
UCI I410-ECN-0102-2015-300-002046517

1. 연구배경 본 2014 학년도 실태조사는 상명대학교 신입생들의 적응을 도모하고, 자아성장과 개발을 통하여 상명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2. 연구내용 본 실태조사에서는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생활환경, 대학생활, 학업 및 진로, 본교에 대한 태도, 일상생활과 관련된 6가지 항목을 살펴보았다. 3.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일반적 특성 ㆍ본 실태조사에는 1,408명의 신입생들이 참여하였으며 그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0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1.398 명의 자료를 분석함. 남학생 581 명(41. 6%), 여학생 815명(58.3%), 무응답 2명(0.1%) 이 참여함. 신입생 44.8% 가 출신 고등학교 소재지가 서울로 나타났으며, 62.1% 가 졸업한 해에 입학한 학생으로 조사됨. ○ 생활환경 ㆍ신입생들의 통학지역을 살펴보면 경기 지역에서 통학하는 학생 비율이 35.0% 로 가장 높았으며, 통학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이라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39.4%로 가장 높았음. 신입생의 53.5% 가 스스로 중류계층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대학 재학 중 학비 및 생활비 부담과 관련해서 85.5% 가 부모가 이를 부담한다고 응답함. ㆍ38.6% 의 학생들이 가족 분위기가 화목한 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부모와의 심리적 거리와 관련해서는 ‘가깝다’혹은 ‘매우 가깝다’고 지각하고 있는 학생들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ㆍ부모와의 의견 차이와 관련해서는 39.5% 가 생활습관에서 의견차이를 가장 많이 경험한다고 응답함. ○ 대학생활 신입생의 86.7% 가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8.8% 가 만족도에 대해서 ‘그저 그렇다’고 응답함. ‘매우 불만족스럽다’거나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이유와 관련해서 동기 및 선배와의 친목시간 부족 34.7%, 프로그램의 문제 29.6% 를 주요하게 언급함. 입학 후 가장 힘들었던 점에 대해서 25.1% 가 친구 사귀기, 24.6% 가 학교에 대한 정보부족, 20.8% 가 수강신청을 선택함. ㆍ현재까지의 대학생활 만족도와 관련해서 5점 리커트 척도로 평정했을 때 3.44 정도의 평균을 보고함. 단과대학별로 살펴보면 사범대 학생들이 예년과 동일하게 가장 높았고, 미래창조산학대학(군사학과), 인문사회과학대, 소프트웨어대, 경영대, 자연과학대, 음악대, 조형예술대 순으로 나타남. ○ 학업 및 진로 ㆍ수업시간 이외에 하루 평균 공부하는 시간에 대해서는 37.5% 가 1시간 미만이라고 언급하였으며, 대학공부를 하면서는 시험공부 방법 (39.7%), 리포트 작성 (26.3%), 발표 및 토론 (20.5%) 등에 대해서 어려움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남. 소속학과 지망 동기에 대해서는 53,7% 가 적성과 흥미에 맞춰서 지원했다고 응답하였으며, 자신의 전공 분야, 강의 내용 또는 전망 등에 대해서 49.3% 가 보통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전공에 대한 확신 역시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이 36.5% 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ㆍ부전공, 다전공(연계전공 포함)이나 전과를 할 의향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34.9% 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과반수에 가까운 49.8% 가 다전공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취업과 관련해서 25.0% 의 학생들의 국가기관(공무원 포함), 18.9% 의 학생들이 대기업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취업을 하려는 이유와 관련해서 52.7% 의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에 맞아서라고 응답함. ○ 본교에 대한 태도 ㆍ신입생들에게 본교를 선택하게 된 동기를 질문한 결과 67.1% 가 성적에 맞춰서를 선택했으며, 본교 지망 결정 시기와 관련해서 43.0% 의 신입생들이 원서접수 기간에 결정한 것으로 나타남. ㆍ본교에 대한 정보를 접한 매체로는 46.9% 가 본교 홈페이지라고 응답함. ㆍ본교에 대한 자부심에 대해서는 53.5% 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본교의 낮은 사회적 인지도 59.6% 가 가장 불만스럽다고 응답함. 본교 인지도 상승과 이미지 개선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대학의 질적 수준 강화 (63.6%) 를 우선적으로 바라는 것으로 나타남. 본교에 바라는 점으로는 대외 이미지 개선이 43.9% 로 가장 많았으며. 복지시설 30.7%, 교육환경 25.4%의 순으로 나타남. ㆍ본교 홍보를 위해 필요한 사업으로는 우수인재 양성 49.8% 이라고 언급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으며, 본교 홍보를 위한 적절한 매체로는 인터넷 포털광고를 35.4%, 대학홍보브로슈어를 34.7% 로 많이 언급함. ○ 일상생활 ㆍ신입생들이 입학 후에 갖게 되는 걱정거리를 물어본 결과 학교공부 (29.4%), 시간관리(23.9%), 진로 및 취업 (23.8%), 학자금 조달(14.5%) 의 순으로 나타남. ㆍ개인적인 문제의 의논상대로는 친구 (38.5%)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어머니(34.8%) 라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음. 학생상담센터에 기대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질문한 결과 개인상담 (43.7%) 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성폭력 상담센터와 관련해서 성 교육 시 가장 알고 싶은 점으로는 피임, 임신, 낙태관련 교육 (41.3%) 을 가장 많이 선택함.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