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워필드의 신학적 기원이 칼빈의 신학임을 밝히는데 있다. 워필드는 대표적인 개혁주의 신학자로 평가받으면서도 상식철학에 기초한 신학자라는 오해를 받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 글에서 워필드가 칼빈주의에 입각한 신학자임을 밝히기 위해서 워필드와 칼빈의 인식론을 비교할 것이다. 신학적 사상이나 철학적 사상은 인식론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두 사람의 인식론을 비교하는 작업은 두 사람의 신학적 연속성을 찾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인식론의 구성 요소는 참인 사실과 그 사실에 대한 인식, 그 사실을 참으로 인식하는 근거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도 이 세 가지 인식론적 요소를 중심으로 워필드와 칼빈의 인식론을 비교하고자 한다. 그것은 자연계시와 특별계시, 죄가 인간의 지성에 미친 영향, 성령의 증언을 대상으로 한다. 즉 자연계시는 참인 사실과 관련이 있고, 죄가 인간의 지성에 미친 영향을 그 사실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고, 특별계시와 성령의 증언은 그 사실을 참으로 믿는 근거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워필드와 칼빈이 자연계시와 특별계시, 죄가 인간 지성에 미친 영향,성령의 증언에 관한 교리들을 어떻게 다루는지 살펴보는 것은 그들의 인식론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고 그들의 전체적인 신학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된다. 첫 번째는 인식론에서 참인사실에 해당하는 것으로 내적인 자연계시이다. 그것은 하나님을 인식하는 선험적 형태이다. 두 번째 역시 인식론에서 참인 사실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적인 자연계시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창조와 섭리이다. 세 번째는 인식론에서 그 사실을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죄가 인간 지성에 미친 영향이다. 그것은 앞의 두 자연계시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원인을 설명해준다. 네 번째는 인식론에서 그 사실을 참으로 인식하는 근거와 관련이 있는 특별계시와 성령의 내적 증언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워필드와 칼빈의 인식론이 공통점을 가지고있고 그들의 신학이 연속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워필드의 개혁주의적이고 칼빈주의적인 유산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기틀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represent the theology of Calvin as the background of the theology of Benjamin B. Warfield. This purpose comes from the fact that Warfield is not just evalua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formed theologians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also misunderstood as a theologian based on the common sense philosophy. So in this study, I will compare the epistemology of both Warfield and Calvin to confirm that the theological conception of Warfield is based on Calvinistic one. Since theological systems and philosophical thoughts can be defined by epistemology, comparing their epistemology will be a good starting point to find their theological continuity. Epistemology is consisted of truth, recognition, and justification. Thus, this article explores according to these elements when compares the epistemology of Warfield and Calvin. Those three epistemological elements individually can be referred to the natural and special revelation, the noetic effects of sin, and the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That is to say, the natural revelation is concerned with the truth, the noetic effects of sin is concern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truth, and the special revelation and the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are concerned with the justification of the truth. Considering how Warfield and Calvin explain those three elements would help us understand not just their epistemology but also their theology. Thus this article runs as followings. First, the internal natural revelation which can be referred as truth in epistemology. It is a priori form of recognizing God. Second, the external natural revelation which also can be referred as truth. It means creation and providence of God. Third, the noetic effects of sin which is concerned with recognizing the truth. This element explains the reason why former two elements failed to make proper knowledge. Fourth, the special revelation and the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from which the truth can be justified. From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the epistemology of Warfield and Calvin is on the same line, and their theology shares the same Reformed heritages. This conclusion will provide us with the adequate basis to understand the Reformed and Calvinistic theology of Warfield as it truly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