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4.245.35
3.134.245.35
close menu
}
KCI 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판별요인에 관한 연구: 일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충동성, 교우관계, 모의 권위주의형 부모양육태도, 학교부적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riminating Factors of Youth`s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Daily Average Smartphone Usage Time, Impulsivity, Peer Relationships, Mother`s Authoritarianism-rearing Attitudes-
주석진 ( Seok Jin Ju ) , 조성심 ( Sung Sim Cho )
UCI I410-ECN-0102-2015-300-002049856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보급률과 중독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여부를 판별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일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충동성, 교우관계, 모의 권위주의형 양육태도, 학교부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여부를 판별하는지와 판별한다면 어떠한 변인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큰지를 살펴볼 목적으로 수행이 되었다. 이를 위해서 서울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3개교와 고등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실태를 살펴본 결과 정부에서 실시한 조사보다 중독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여부(중독위험군, 비중독군)에 따른 각 변수수준의 차이를 중다변량분석(MANOVA)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일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학교부적응, 충동성, 교우관계는 집단유형(중독위험군, 비중독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여부를 판별하는 변인들과 이들 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판별함수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일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학교부적응, 교우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여부를 판별하는 요인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들 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의 순서를 살펴본 결과 일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교부적응, 교우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지도하는데 있어 필요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a situation that the smartphone penetration rate and addiction rate are steadi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ether an average smartphone usage time, impulsivity, peer relationships, mother``s authoritarianism-rearing attitudes and school maladjustment of youth discriminate the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previous research and if so, to look at which variables have relatively greater importance. For this study, 600 students were surveyed from 3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that are located in Seoul city area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tuation of those surveyed smartphone addictions, the addiction rate of those surveyed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each variable level in accordance with smartphone addiction(addiction risk group, non-addicted group) by multivariate analysis (MANOVA), daily average smartphone usage time, school maladjustment, impulsivity, peer relationship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roup type (addiction risk group, non-addicted group).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ables that discriminate a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variables through a hierarchical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aily average smartphone usage hours, impulsivity, and school maladjustment was confirmed as a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a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order for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variables appeared that the highest were the daily average smartphone usage time, next was school mal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e proposal needed to lead the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of youth.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