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중학생의 수준별 수업과 학업성취에 관한 종단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김희란 ( Hee Ran Kim ) , 이수정 ( Soo Jung Lee ) , 김혜영 ( Hye Young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2049210

본 연구는 수준별 수업이 중학생의 영어와 수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영어 참여자 1,504명과 수학 참여자 1,492명 학생들의 중학교 1학년 때부터 3학년 때까지 세 차례에 걸쳐 반복 측정된 영어와 수학 성취도를 토대로 수준별 수업의 지속 기간의 효과가 어떠한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형혼합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고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R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수준별 수업은 교과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지만 영어와 수학 성취도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었다. 영어의 경우 3학년 때까지 수준별 수업을 받은 집단의 성취도 변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수학의 경우 1학년 때까지 수준별수업을 받은 집단의 성취도 변화율이 가장 높았다. 영어의 경우 수준별 수업 기간이 길수록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학의 경우 지속 기간이 길수록 효과가 있었다고는 볼 수 없었다. 다만 이들 수준별 수업 외 변인들은 성취도 변화율의 개인 간 차이를 더 크게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준별 수업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의 지침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English and Math achievemen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1st, 2nd, and 3rd wave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The data analysis procedure was Linear Mixed Effect Regression using R.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y continuity of ability grouping in each English and Math classes offered by participants`` schools during their middle school years; a non-experience group, an only 1st grade experience group, an until 2nd grade experience group, and an until 3rd grade experience group. The study resulted in different slope effects of English and Math achievement along with the four groups. In English, the until 3rd grade experience group showed the highest slop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slopes of the other three groups, meaning that students who had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7th grade to 9th grade changed most greatly their English scores. In Math, the only 1st grade experience group showed the highest slope significantly. Overall,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English achievement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whil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Math achievement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along with continuity of ability grouping experience.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후 주
참 고 문 헌(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