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음악 교재,교구 활용의 당위성과 방향 모색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Justification of Utilizing Music Materials and Tools
김미숙 ( Mi Sook Kim )
UCI I410-ECN-0102-2015-600-002048510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심리학자들의 교수방법, 학습 영역 등의 제반 사항들의 고찰을 통해서 음악 교재·교구 활용의 당위성과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페스탈로치의 인간발달의 원리와 교육 원리, 피아제의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수업원리, 데일의 경험원추이론과 브루너의 표상양식이론 등에서 강조한 시청각적 경험의 중요성에서 음악 교재·교구 활용의 당위성을 찾았다. 음악 교재·교구 활용의 당위성은 직관을 사용하고 직접 경험을 하며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한국의 음악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음악 프로그램의 목표, 음악교육학자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음악 교과의 특성을 살린음악 교재·교구 활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음악 교재·교구 활용의 방향은 일반적 측면과 음악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일반적 측면에서는 교육적 측면, 실용적 측면, 동기유발적 측면, 상호작용적 측면으로 세분화되고 음악적 측면에서는 음악적 이해, 음악적 활동, 음악적 태도로 세분화되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and justification of utilizing music materials and tools through the study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such as the music curriculum, the educational psychologists`` teaching methods, and its research areas. The justification of musical teaching aids and materials can be found through the importance of the audiovisual experiences which highlighted in ``the principles of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by Johann Heinrich Pestalozzi, ``th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by Jean Piaget, ``the cone of experience theory`` by Edgar Dale and ``the theory of representation`` by Jerom Bruner. The selection criteria of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was established by citing the music curriculum in Korea, the goal of music programs in the U.S. and music educator``s thoughts and comments, The selection criteria in music materials and tools are classified to the general aspects and musical aspect. The general aspect is divided to the educational aspects, practical aspects, motivational aspects, and interaction aspects. The utilizing direction of musical teaching aids and materials is divided to understanding in music, musical activities and musical attitude.

Ⅰ. 서론
Ⅱ. 교수방법에 기초한 음악 교재·교구 활용의 당위성
Ⅲ. 음악 교재·교구의 선정을 위한 방향 모색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