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급학생 또래교수를 이용한 놀이중심의 전래동요가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으로 실험집단 26명과 통제집단 26명이었다. 실험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씩 총 16회 수업을 하였으며 1회기 수업시간은 30분이었다. 실험집단은 상급학생과 놀이중심의 전래동요를 배우며 신체표현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담임교사와 놀이중심의 전래동요를 배우며 신체표현활동에 참여하였다. 공변량분석, T검증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 신체표현력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학습만족도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상급학생을 이용하여 상급학생 또래교수를 실시하는 방안을 계속적으로 연구하고 적절하게 교육현장에 활용한다면 아동의 창의적 신체표현력뿐만 아니라 학습만족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mplementing peer and cross-age tutoring on physical expres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using games wit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 experimental research is employed for the study and the subject group are the fir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city, sizing 26 students in both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eight-week long peer and cross-age tutoring program with sixteen sessions while the controlled group learned th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under the homeroom teacher’s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y of peer and cross-age tutoring and its appropriate applecation in reaching environment not only improves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but also their learning satisfaction.